-->

GoogleSearch




Scientist. Husband. Daddy. --- TOLLE. LEGE
외부자료의 인용에 있어 대한민국 저작권법(28조)과 U.S. Copyright Act (17 USC. §107)에 정의된 "저작권물의 공정한 이용원칙 | the U.S. fair use doctrine" 을 따릅니다.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본문 발췌, (3) 무단배포를 위한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URL 주소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후원 | 운영] [대문으로] [방명록] [옛 방명록] [티스토리 (백업)]

이 블로그 검색

[© 최광민] 2021년 4월 30일 별보기: 스태킹 없이 EAA + M104 솜브레로 은하

라벨:


작성

© 최광민, Kwangmin Choi, 2021-04-30
전문복사, 문맥을 무시한 임의적 발췌/수정, 배포를 금합니다.

제목

[© 최광민]  2021년 4월 30일 트래킹/스태킹 없이 EAA

순서
  1. 관측조건
  2. M104 Sombrero galaxy

# 관측조건 

오늘 오후부터 바람이 세게 불었는데, 그 덕분인지 밤 10시 경 밤하늘에 구름 한점 없긴 했다. 다만 좀 추워서 예정된 목표 가운데 하나만 마치고 들어왔다. 

하늘에 달은 없었다. 정렬은 Spica와 Regulus, 혹은 Spica와 Capella 두 별을 사용해서 이점정렬. 

원래 목표는, 고도 40도에서 90도 사이의 12등급 미만의 심우주 대상 (성운, 행성상성운, 산개성단, 구상성단, 은하) 10개를 골라 EAA 관측하고 스크린 캡쳐하기.

IMX244 카메라에 0.5x 포컬리듀서를 끼우고 스태킹 없이 1초 미만 노출로 실시간 관측했다. 일종의 e-아이피스라 보면 되겠다. 

미니초인경에서 산개성단은 꽤 예쁘게 보이는 편. 나머지 대상은 아무래도 50mm 구경 파인더를 개조한 미니초인경의 아크로매틱 렌즈 가지고는 좀 힘들단 생각. 그래도 위치를 확인하고 대략의 모습을 파악하는 e-파인더로서는 문제 없다. 


# 솜브레로 은하 EAA

원래 목표한 대상 가운데서는 Virgo (처녀자리)에 있는 대표적 나선은하인 M104 솜브레로 은하를 다시 찾았다. 이 지역에는 어두운 관측지에 가면 찾아볼 만한 대상이 많이 있다.





M104는 8.17등급으로 밝은 편. 지난 4월 16일 앞마당 안시관측에서는 대략 아래 이미지 수준으 (시뮬레이션). "보인다"기 보단 "위치확인 가능" 정도?  

영혼이 맑은 사람만 간혹 볼 수 있다.



1500mm 초점거리의 12인치 초인경 상에서 0.5x 포컬리듀서 사용해 750mm으로 초점거리를 낮추고 8초 노출로 1.27 메가픽셀의 IMX224 센서 상에서 캡쳐하면 아래와 같다. 대략 12mm 아이피스 상에서 보는 정도의 크기다. 암흑대는 꽤 잘 포착된 듯.


© 최광민

영혼이 맑은 사람은 은하를 가로지르는 암흑대를 볼 수 있다.


© 최광민

물론 허블급엔 역불급 (力不及) 이겠지만,


출처: Wikimedia Commons

한 20장 정도 스태킹하면 가운데 은하핵 부분이 좀 더 볼록해지지 않을까 싶다. 

어두운 관측지로 차 몰고 떠나길 번거로와하는 나 같이 게으른 도시인에겐 태양과 달, 행성, 이중성, 산개성단을 뺀 관측대상들은 EAA 관측이 정답.

최광민






라벨:





Scientist. Husband. Daddy. --- TOLLE. LEGE
외부자료의 인용에 있어 대한민국 저작권법(28조)과 U.S. Copyright Act (17 USC. §107)에 정의된 "저작권물의 공정한 이용원칙 | the U.S. fair use doctrine" 을 따릅니다.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본문 발췌, (3) 무단배포를 위한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URL 주소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후원 | 운영] [대문으로] [방명록] [옛 방명록] [티스토리 (백업)] [신시내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