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earch
블로그 내부검색
[© 최광민] 2021년 4월 2-3일 별보기
Labels:
우주중년단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
작성
© 최광민 2021-04-02/03
제목
[© 최광민] 2021년 4월 2일 별보기
순서- 2021 4월 2일 (금)
- 관측조건
- M44, Beehive cluster
- M67
- NGC2392, Eskimo nebula
- Meduda nebula
- Owl nebula
- Bode' nebulae
- 2021년 4월 3일 (토)
- 구상성단 M53
- 이중성 Algebra A/B
- 나선은하 Black eye galaxy
- 이중성 Cor Caroli A/B
- 행성상성운 NGS 3242, "The Ghost of Jupiter"
§ 2021년 4월 2일 (금)
# 관측조건
관측지는 집 주차장 앞. 관측시간은 밤 11시에서 자정까지. 평소처럼 옆집과 앞집의 외부조명이 꽤 밝은데, 그나마 달이 없어서 육안으로도 별이 꽤 많아 보이긴 했다.
Nexus-II와 SkySafari 연결하고 남서방향의 Procyon (mag 0.4)와 북서방향의 Capella (mag 0.1) 두개로만 2점정렬을 했다. 평소는 Polaris 부터 정렬해서 보통 3점정렬을 했는데, 의외로 2점정렬이 꽤 정확히 대상을 찾아줬다.
관측은 12인치 Skywatcher 12인치 돕소니언 (=초인경)에서 8-24mm 줌아이피스로 10mm, 즉 150x 정도 배율에서 주로 관측했다. 오늘밤은 시상은 꽤 좋은 반면, 날씨가 춥고 관측시간 대에 볼 만한 대상이 별로 없는 점이 불만.
출동.
초인경의 "위용"!
© Kwangmin Choi 최광민

© Kwangmin Choi 최광민
# M44, Beehive cluster
+3.0970.0 arcmin610 광년
꽤 커서 찾기도 쉽고 잘 보이는 편이지만, 산개성단 중에도 특별히 지루한 편에 속함.

Wikimedia commons
# M67
+6.9025.0 arcmin2600 광년
보이긴 했는데 별이 좀 잘게 보였다. 형태에 특별한 점은 없는 산개성단
Wikimedia commons
# NGC2392, Eskimo nebula
+0.190.8 x 0.7 arcmin4200 광년
에스키모 성운은 EAA 이미징 관측대상으로만 골라 놓고 안시관측은 그동안 해본 적 없었는데 (혹은 예전에 안시로 시도했지만 보지 못해 기억에서 사라졌거나), 오늘 꽤 오랫동안 안시로 관측했다. 동그란 구형 성운기는 잘 보였고 중간이 낮은 대비 가운데서도 중심이 꽤 두드러지게 밝게 보이는 전형적인 행성상성운.
Bortle scale 7/8 등급의 광공해에다 옆집 실외등이 환한 우리 집 앞마당에서 아이피스 안시관측하면 딱 아래 수준

Wikimedia commons + Gimp에서 보정
# Medusa nebula, Owl nebula
둘다 관측실패
# Bode' nebulae (M81 + M82)
1200만 광년 떨어진 은하들.
이 은하들도 역시 EAA 관측대상으로 빼놓은 대상인데, 사실 안시로 제대로 관측해 본적이 없었다. 아마 오늘이 이 두 은하를 안시로 제대로(?) 관측한 첫 밤이 아닌가 싶다.
약 15mm = 100x 정도 배율에서 M81과 M82 가 아슬아슬하게 아이피스에 잡히긴 하는데, +8.05 광도의 시가형 은하인 M82 (11 x 5.1 arcmin)와 +6.84 광도의 나선은하인 M81 (21.4 x 11.2 arcmin) 중에서 보다 작고 광밀도가 높은 M82가 더 잘 보였다.

Wikimedia commons
역시 우리 집 앞마당에서 안시관측하면 이 수준

Wikimedia commons + Gimp에서 보정
최광민
§ 2021년 4월 3일 (토)
# 관측조건
어제에 비해 훨씬 따뜻해서 보다 느긋하게 구경할 수 있었다. 그냥 SkySafari가 추천해 주는 Tonight's Best를 따라 훑어봤는데, 이번 주말엔 볼만한 성운들이 모두 새벽 깊어야 떠오르는 관계로 구성상단이나 이중성 중심으로 좀 봤다 (그나마도 별로 볼 게 없음). 산개성단이나 구상성단은 어짜피 별이라서 광공해가 있는 도시에서도 그럭저럭 잘 보인다. 문제는 은하와 성운.
# 구상성단 M53
+7.6113'58000 광년
예전에 봤던 기억이 없다. 꽤 흐릿하게 보여서 큰 감흥은 없었다.

Wikimedia Commons
# 구상성단 M3
+6.19
18.0'
33000 광년
옆집 외등 탓에 시야가 암적응이 안되서 상당히 어둡게 보이긴 했지만, 암적응만 되면 꽤 반짝이는 모래알 같은 느낌을 받는 예쁜 구상성단. 물론 M13과 비교하면....

# 구상성단 M13, Hercules
+5.78
20.0'
23000 광년
구상성단의 꽃 M13. 광공해 심한 도시의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최고의 심우주 천체. 아무리 봐도 질리지 않는다.

# 이중성 Algieba A/B
+2.23, +3.64130광년
처음에 무슨 이중성 이름이 "기하"도 아닌 "대수" (Algebra)"인가 싶어 흥미진진하게 보았으나, 알고보니 Algebra가 아니라 Algieba 라서 허탈.
분해 성공!
# 나선은하 M64, Black eye galaxy
+8.4310.5' x 5.4'1400만 광년
보인다고 생각하고 보면 보이고, 생각없이 보면 안보임. 약간 "믿음"의 영역에 속한다고나 할까.

Wikimedia Commons
가운데 암흑대 때문에 까만눈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이지만, 앞마당 안시관측에서는 그냥 "아, 있네" 정도 느낌.

# 이중성 Cor Caroli A/B
+2.89, +5.52115 광년
분해성공!
# 행성상성운 NGS 3242, "The Ghost of Jupiter"
목성처럼 생겼는데 흐릿하다 해서 별명이 "유령 목성"인데, 도대체 어디가 목성 같다는 것인지 아무리 봐도 모르겠다. 앞마당에서 보기엔 어제 본 에스키모 행성상성운과 거의 똑같다.
Wikimedia Commons
안시관측에선 그냥 특징이 보이지 않는 콩알. 딱 아래 느낌.

최광민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
Labels:
우주중년단
작성
© 최광민 2021-04-02/03
제목
[© 최광민] 2021년 4월 2일 별보기
순서
- 2021 4월 2일 (금)
- 관측조건
- M44, Beehive cluster
- M67
- NGC2392, Eskimo nebula
- Meduda nebula
- Owl nebula
- Bode' nebulae
- 2021년 4월 3일 (토)
- 구상성단 M53
- 이중성 Algebra A/B
- 나선은하 Black eye galaxy
- 이중성 Cor Caroli A/B
- 행성상성운 NGS 3242, "The Ghost of Jupiter"

© Kwangmin Choi 최광민

© Kwangmin Choi 최광민
# M44, Beehive cluster
+3.09
70.0 arcmin
610 광년
꽤 커서 찾기도 쉽고 잘 보이는 편이지만, 산개성단 중에도 특별히 지루한 편에 속함.

Wikimedia commons
# M67
+6.90
25.0 arcmin
2600 광년
보이긴 했는데 별이 좀 잘게 보였다. 형태에 특별한 점은 없는 산개성단

Wikimedia commons
# NGC2392, Eskimo nebula
+0.19
0.8 x 0.7 arcmin
4200 광년
Bortle scale 7/8 등급의 광공해에다 옆집 실외등이 환한 우리 집 앞마당에서 아이피스 안시관측하면 딱 아래 수준

Wikimedia commons + Gimp에서 보정
# Medusa nebula, Owl nebula
둘다 관측실패
# Bode' nebulae (M81 + M82)
1200만 광년 떨어진 은하들.
이 은하들도 역시 EAA 관측대상으로 빼놓은 대상인데, 사실 안시로 제대로 관측해 본적이 없었다. 아마 오늘이 이 두 은하를 안시로 제대로(?) 관측한 첫 밤이 아닌가 싶다.
약 15mm = 100x 정도 배율에서 M81과 M82 가 아슬아슬하게 아이피스에 잡히긴 하는데, +8.05 광도의 시가형 은하인 M82 (11 x 5.1 arcmin)와 +6.84 광도의 나선은하인 M81 (21.4 x 11.2 arcmin) 중에서 보다 작고 광밀도가 높은 M82가 더 잘 보였다.

Wikimedia commons
역시 우리 집 앞마당에서 안시관측하면 이 수준

Wikimedia commons + Gimp에서 보정
최광민
§ 2021년 4월 3일 (토)
# 관측조건
어제에 비해 훨씬 따뜻해서 보다 느긋하게 구경할 수 있었다. 그냥 SkySafari가 추천해 주는 Tonight's Best를 따라 훑어봤는데, 이번 주말엔 볼만한 성운들이 모두 새벽 깊어야 떠오르는 관계로 구성상단이나 이중성 중심으로 좀 봤다 (그나마도 별로 볼 게 없음). 산개성단이나 구상성단은 어짜피 별이라서 광공해가 있는 도시에서도 그럭저럭 잘 보인다. 문제는 은하와 성운.
+7.61
13'
58000 광년
예전에 봤던 기억이 없다. 꽤 흐릿하게 보여서 큰 감흥은 없었다.

Wikimedia Commons
# 구상성단 M3
+6.19
18.0'
33000 광년

+5.78
20.0'
23000 광년
구상성단의 꽃 M13. 광공해 심한 도시의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최고의 심우주 천체. 아무리 봐도 질리지 않는다.

# 나선은하 M64, Black eye galaxy


# 행성상성운 NGS 3242, "The Ghost of Jupiter"

18.0'
33000 광년
옆집 외등 탓에 시야가 암적응이 안되서 상당히 어둡게 보이긴 했지만, 암적응만 되면 꽤 반짝이는 모래알 같은 느낌을 받는 예쁜 구상성단. 물론 M13과 비교하면....

# 구상성단 M13, Hercules
20.0'
23000 광년
구상성단의 꽃 M13. 광공해 심한 도시의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최고의 심우주 천체. 아무리 봐도 질리지 않는다.

# 이중성 Algieba A/B
+2.23, +3.64
130광년
처음에 무슨 이중성 이름이 "기하"도 아닌 "대수" (Algebra)"인가 싶어 흥미진진하게 보았으나, 알고보니 Algebra가 아니라 Algieba 라서 허탈.
분해 성공!
# 나선은하 M64, Black eye galaxy
+8.43
10.5' x 5.4'
1400만 광년
보인다고 생각하고 보면 보이고, 생각없이 보면 안보임. 약간 "믿음"의 영역에 속한다고나 할까.

Wikimedia Commons
가운데 암흑대 때문에 까만눈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이지만, 앞마당 안시관측에서는 그냥 "아, 있네" 정도 느낌.

# 이중성 Cor Caroli A/B
+2.89, +5.52
115 광년
분해성공!
# 행성상성운 NGS 3242, "The Ghost of Jupiter"
목성처럼 생겼는데 흐릿하다 해서 별명이 "유령 목성"인데, 도대체 어디가 목성 같다는 것인지 아무리 봐도 모르겠다. 앞마당에서 보기엔 어제 본 에스키모 행성상성운과 거의 똑같다.

Wikimedia Commons

안시관측에선 그냥 특징이 보이지 않는 콩알. 딱 아래 느낌.

최광민
Scientist. Husband. Daddy. --- TOLLE. LEGE
외부자료의 인용에 있어 대한민국 저작권법(28조)과 U.S. Copyright Act (17 USC. §107)에 정의된 "저작권물의 공정한 이용원칙 | the U.S. fair use doctrine" 을 따릅니다.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본문 발췌, (3) 무단배포를 위한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URL 주소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후원 | 운영] [대문으로] [방명록] [티스토리 (백업)] [신시내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