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tist. Husband. Daddy. --- TOLLE. LEGE
외부자료의 인용에 있어 대한민국 저작권법(28조)과 U.S. Copyright Act (17 USC. §107)에 정의된 "저작권물의 공정한 이용원칙 | the U.S. fair use doctrine" 을 따릅니다.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본문 발췌, (3) 무단배포를 위한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URL 주소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후원 | 운영] [대문으로] [방명록] [(구)방명록]
블로그 내부검색
[© 최광민] 오컬트 vs. O-컬트: 일본말의 영향을 받은 영어?
라벨:
비교신화/종교,
사회/사건,
잡글,
책
이메일로 전송BlogThis!X에 공유Facebook에서 공유
작성
© 草人 최광민 2012-05-10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글들에 대해 저자의 동의없는 전문복제/배포 - 임의수정 및 자의적 발췌를 금하며, 인용 시 글의 URL 링크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목
[© 최광민] 오컬트 vs. O-컬트: O-맘마-미아!
원글: https://kwangmin.blogspot.com/2012/05/vs-o.html
하인리히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 (Heinrich Cornelius Agrippa), {오컬트 철학에 관하여 Of Occult Philosophy}, 1538년
연세대 심리학과 황상민 교수란 분이 "신촌 10대 살인사건, 왜곡된 오컬트문화 영향인가"란 주제를 다룬 {백지연의 끝장토론}이란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한 발언의 녹취내용을 우연히 읽어보게 되었다.
인용한다.
[황상민 교수]....(전략)..."오컬트"라는 말 자체가 영어일까요, 일본말일까요? 이러면 거기에 대해서 답할수 있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싶어요. 왜냐하면 영어에서 "컬트문화"라는 것은 상당히 이야기를 많이 해요. 그거는 소수의 광신도 집단이라는 말이 있는데, 거기에다가 "오-"라는 말이 들어가 있으면 그거는 일본말의 영향을 받은 영어라는 가능성이 높거든요. 아니면 이거 자체가 어떤 새로운 용어로서 있는지는 모르겠어요. 그렇지만은 저 개인적으로 봤을때 갑자기 왜 이 범죄와 관련해가지고 오컬트문화라는 것이 나왔을까 생각을 해보면 어쩌면 이 범죄자체에 대해서 사람들이 잘 이해를 못했거나 충격을 받았기 때문에 뭔가 설명이 될 만한 것을 갖다붙이는 이런게 아닐까 싶은데...(후략)...
오,
맘마!
미아!
아....위 내용을 읽다가 그야말로 "뿜었다".
Occult는 소위 "일본어에 영향을 받은 영어"가 아니라 라틴어 어원을 가지는 (일종의) 전문용어다.
그럼 ,
"O, Mamma Mia!"는 "일본어에 영향을 받은 이탈리아어"인가?
몇권의 책을 권해드리고 싶다.
우선, 전공이 심리학이시니 심층심리학자 카를 구스타프 융의 {심리학과 오컬트, Psychology and the Occult}를 권한다. 물론 전공이 발달심리학이시니 심층심리학 책은 안 읽어보셨을지도 모르지만.
Psychology and the Occult (C. G. Jung)
또 하나는 (사실 융의 저작들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 19세기 말의 유명한 "오컬트 주의자" 헬레나 페트로브나 블라바트스키의 {오컬트주의 연구, Studies in Occultism; A Series of Reprints from the Writings of H. P. Blavatsky No. 1: Practical Occultism-Occultism versus the Occult Arts-The Blessings of Publicity}다.
신지학의 창시자이자 현대 오컬트의 대모인 블라바트스키의 책들에는 "오컬트"란 말이 셀 수 없이 많이 나온다.
{Studies in Occultism; A Series of Reprints from the Writings of H. P. Blavatsky No. 1: Practical Occultism-Occultism versus the Occult Arts-The Blessings of Publicity (H. P. (Helena Petrovna) Blavatsky)
혹은 움베르토 에코의 유명한 소설 {푸코의 추/진자}는 어떨까? 역시 헬레나 블라바트스키와 밀접한 연계점이 있는 소설이다. 역시 '오컬트'란 단어가 셀 수 없이 많이 등장한다.
{Foucault's Pendulum} (Umberto Eco}
오,
맘마!
미아!
草人
이메일로 전송BlogThis!X에 공유Facebook에서 공유
라벨:
비교신화/종교,
사회/사건,
잡글,
책
© 草人 최광민 2012-05-10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글들에 대해 저자의 동의없는 전문복제/배포 - 임의수정 및 자의적 발췌를 금하며, 인용 시 글의 URL 링크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목
[© 최광민] 오컬트 vs. O-컬트: O-맘마-미아!

하인리히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 (Heinrich Cornelius Agrippa),
{오컬트 철학에 관하여 Of Occult Philosophy}, 1538년
연세대 심리학과 황상민 교수란 분이 "신촌 10대 살인사건, 왜곡된 오컬트문화 영향인가"란 주제를 다룬 {백지연의 끝장토론}이란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한 발언의 녹취내용을 우연히 읽어보게 되었다.
인용한다.
[황상민 교수]....(전략)..."오컬트"라는 말 자체가 영어일까요, 일본말일까요? 이러면 거기에 대해서 답할수 있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싶어요. 왜냐하면 영어에서 "컬트문화"라는 것은 상당히 이야기를 많이 해요. 그거는 소수의 광신도 집단이라는 말이 있는데, 거기에다가 "오-"라는 말이 들어가 있으면 그거는 일본말의 영향을 받은 영어라는 가능성이 높거든요. 아니면 이거 자체가 어떤 새로운 용어로서 있는지는 모르겠어요. 그렇지만은 저 개인적으로 봤을때 갑자기 왜 이 범죄와 관련해가지고 오컬트문화라는 것이 나왔을까 생각을 해보면 어쩌면 이 범죄자체에 대해서 사람들이 잘 이해를 못했거나 충격을 받았기 때문에 뭔가 설명이 될 만한 것을 갖다붙이는 이런게 아닐까 싶은데...(후략)...
오,
맘마!
미아!
아....위 내용을 읽다가 그야말로 "뿜었다".
Occult는 소위 "일본어에 영향을 받은 영어"가 아니라 라틴어 어원을 가지는 (일종의) 전문용어다.
그럼 ,
"O, Mamma Mia!"는 "일본어에 영향을 받은 이탈리아어"인가?
몇권의 책을 권해드리고 싶다.
우선, 전공이 심리학이시니 심층심리학자 카를 구스타프 융의 {심리학과 오컬트, Psychology and the Occult}를 권한다. 물론 전공이 발달심리학이시니 심층심리학 책은 안 읽어보셨을지도 모르지만.
우선, 전공이 심리학이시니 심층심리학자 카를 구스타프 융의 {심리학과 오컬트, Psychology and the Occult}를 권한다. 물론 전공이 발달심리학이시니 심층심리학 책은 안 읽어보셨을지도 모르지만.
Psychology and the Occult (C. G. Jung)
신지학의 창시자이자 현대 오컬트의 대모인 블라바트스키의 책들에는 "오컬트"란 말이 셀 수 없이 많이 나온다.
{Studies in Occultism; A Series of Reprints from the Writings of H. P. Blavatsky No. 1:
Practical Occultism-Occultism versus the Occult Arts-The Blessings of Publicity
(H. P. (Helena Petrovna) Blavatsky)
혹은 움베르토 에코의 유명한 소설 {푸코의 추/진자}는 어떨까? 역시 헬레나 블라바트스키와 밀접한 연계점이 있는 소설이다. 역시 '오컬트'란 단어가 셀 수 없이 많이 등장한다.
{Foucault's Pendulum} (Umberto Eco}
오,
맘마!
미아!
草人
맘마!
미아!
草人
Scientist. Husband. Daddy. --- TOLLE. LEGE
외부자료의 인용에 있어 대한민국 저작권법(28조)과 U.S. Copyright Act (17 USC. §107)에 정의된 "저작권물의 공정한 이용원칙 | the U.S. fair use doctrine" 을 따릅니다.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본문 발췌, (3) 무단배포를 위한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URL 주소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후원 | 운영] [대문으로] [방명록] [ (구)방명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