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oogleSearch



Scientist. Husband. Daddy. --- TOLLE. LEGE
외부자료의 인용에 있어 대한민국 저작권법(28조)과 U.S. Copyright Act (17 USC. §107)에 정의된 "저작권물의 공정한 이용원칙 | the U.S. fair use doctrine" 을 따릅니다.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본문 발췌, (3) 무단배포를 위한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URL 주소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후원 | 운영] [대문으로] [방명록] [옛 방명록] [티스토리 (백업)]

이 블로그 검색

[© 최광민] 예수 vs. 크리슈나 #2: "예수 그리스도"는 크리슈나를 뜻하는 "예제우스 크리스(트)나"란 말에서 유래했을까?

라벨:


작성

© 최광민, Kwangmin Choi, 2010-09-13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글들에 대해 저자의 동의없는 전문복제/배포 - 임의수정 및 자의적 발췌를 금하며, 인용 시 글의 URL 링크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목

[© 최광민] 예수 vs. 크리슈나 #2: "예수 그리스도"는 크리슈나를 뜻하는 "예제우스 크리스(트)나"란  말에서 유래했을까? 

요약

"예수" 및 "그리스도"의 어원이 산스크리트어라고 주장한 루이 자콜리오와 유사종교 신지학의 창시자 마담 블라바트스키의 주장을 옮긴 후, 이를 원전과  비교한 후 정규학자들의 관점에서 비판한다.

순서
  1. 어떤 주장: 자콜리오, 블라바트스키
  2. 크리슈나 ~ 크리스(트)나 = 크리스토스/그리스도
    1. 산스크리트어에서의 어근
    2. 히브리어의 마쉬아흐/메시아
    3. 그리스어 {70인역, LXX}에서의 크리스토스 
  3. "예제우스" 크리스트나?
  4. 당대 인도/산스크리트어 학자들의 평가

§ 어떤 주장: 자콜리오, 블라바트스키

예수의 그리스식 이름(예수스)과 칭호(크리스토스)가 힌두교의 신 크리슈나의 이름으로부터 유래했다는 주장은 크리슈나=예수 계열 카피캣 이론의 가장 중요한 주장 가운데 하나로서, 이 주장들의 원조는 AD 19세기 프랑스의 인도 식민관리 출신의 루이 자콜리오 ( AD 1837-1890)이며, 확산시킨 장본인은 유사종교인 신지학의 창시자 헬레나 블라바트스키 (AD 1831-1891)다. (이 주장은 영상물 {시대정신, Zeitgeist: the Movie}를 감수한 카피캣 이론가 아차리아 S (본명, D. M. Murdock)의 주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2010년 8월 구글 캡쳐 이미지 일부

일단 이 주장을 짤막하게 정리해 보자.

자콜리오는 1874년 자신의 책 {Christna et le Christ}에서의 주장 속에서, (1) 힌두신 "크리슈나/Krishna"를 "크리스트나/Christna"로 발음/표기함으로써 산스크리트어 "कृष्ण / 크리슈나"가 그리스어 "Χριστοσ / 크리스토스"처럼 들리게끔 의도했을 뿐 아니라,(2) 아예 그리스어 "크리스토스"가 이 "크리스트나"에서 와전된 것이란 주장을 "세계최초로" 제기했다.

이에 덧붙여, 자콜리오는 인도인들이 크리슈나를 "Jezeus/Yezeus Christna / 예제우스 크리스트나"라고 부른다고 주장함으로써, 그리스어 "예수스 크리스토스/예수 그리스도"가 이 "예제우스 크리스트나"란 단어에서 왔다는 놀라운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자콜리오의 이런 "세계문화 인도기원론"은 헬레나 블라바트스키가 주창한 신지학(Theosophy)의 구미에 정확히 일치했고, 당연히 블라바트스키는 자콜리오의 주장들을 신지학의 핵심 근거들로 채용했다.

산스크리트어 "크리슈나"의 원래 발음이 "크리스(트)나"였다라거나, 혹은 "예제우스"란 말에서 "예수스"란 그리스어가 기원했다는 자콜리오의 (그리고 헬레나 블라바트스키의) 주장은 명백한 언어학적인 잘못을 범한 것으로 학계가 이미 20세기 초에 확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이 주장은 크리슈나=예수 카피캣 이론의 여러 주제 중에서 가장 널리 퍼진 속설이기도 하다. 동영상물인 {시대정신, Zeitgeist: the Movie}의 감수자인 카피캣 이론가 아차리아 S 역시 자콜리오의 여러 주장들을 별 이견없이 받아들인다.

원전을 통해, 이 주장이 어떤 논리에서 비롯된 것이며, 또 힌두원전들과 종교/언어학자들의 평가를 통해 어떻게 이미 반박된 것인지 살펴보자.




§ 크리슈나 ≠ 크리스(트)나 = 크리스토스/그리스도?

먼저 여기서 이야기 되는 힌두교의 신 "크리슈나"의 이름과 그 어원에 대해 정리해 보자.

최신 산스크리트-영어 사전은 산스크리트어 Krishna / kṛṣṇa / [ˈkr̩ʂɳə] / कृष्ण의 직역으로 "검은, 어두운, 검푸른"이란 뜻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인도학자/산스크리트어 학자들은 힌두교의 신 "크리슈나"의 뜻을 "검은 (피부의) 자"로 해석한다.이 해석은 언어학적으로나 도상학적으로 충분히 검토된 바 있다.

힌두교도들이 크리슈나를 어떻게 표현해왔는가를 한번 살펴보자.


1550년 경, Gîtâ-Govinda-Manuskript, Szene: Krishna und Gopîs im Walde (출처: Wikimedia Commons)


1690년 경. Krishna und der Berg GovardhânKrishna und der Berg Govardhân (출처: Wikimedia Commons)


1740년 경, Râgmâlâ-Serie, Szene: Krishna mit seiner Flöte (출처: Wikimedia Commons)

현존하는 거의 모든 도상과 조각에서 크리슈나는 검푸른 피부를 가진 인물로 묘사되며, 또한 "크리슈나"의 뜻을 "검은 피부를 가진 자"로 새기는 것은 인도학 학계의 거의 모든 학자들과 힌두교 신자들의 해석이다.

그렇다면 산스크리트어를 해독할 줄 몰랐던 자콜리오의 100년 전 해석을 오늘까지 신뢰하는 것은 타당할까? 물론 종종 비전문가가 전문가보다 훨씬 뛰어난 직관을 보일 때도 있다. 그러나 지금 다루는 문제는 정확한 사실의 문제이지 직관의 문제가 아니다.

자콜리오의 주장을 거의 그대로 옮기고 있는 헬레나 블라바트스키의 {베일벗은 이시스, Isis Unveiled} (1877)에서 인용한다.


Blavatsky, H. P. (Helena Petrovna), 1831-1891,, {Isis unveiled : a master-key to the mysteries of ancient and modern science and theology}, https://archive.org/details/cu31924092304579

.....And the modern Schopenhauer, repeating this philosophical idea, 10,000 years old now, says: "Nature is non-existent, per se. . . . Nature is the infinite illusion of our senses." Kant, Schelling, and other metaphysicians have said the same, and their school maintains the idea. The objects of sense being ever delusive and fluctuating, cannot be a reality. Spirit alone is unchangeable, hence--alone is no illusion. This is pure Buddhist doctrine. The religion of the Gnosis (knowledge), the most evident offshoot of Buddhism, was utterly based on this metaphysical tenet. Christos suffered spiritually for us, and far more acutely than did the illusionary Jesus while his body was being tortured on the Cross.

In the ideas of the Christians, Christ is but another name for Jesus. The philosophy of the Gnostics, the initiates, and hierophants understood it otherwise. The word Christos, Χριστοσ, like all Greek words, must be sought in its philological origin--the Sanscrit. In this latter language Kris means sacred, * and the Hindu deity was named Chris-na (the pure or the sacred) from that. On the other hand, the Greek Christos bears several meanings, as anointed (pure oil, chrism) and others. In all languages, though the synonym of the word means pure or sacred essence, it is the first emanation of the invisible Godhead, manifesting itself tangibly in spirit...

자콜리오는 "Kris"가 "성스러운"이란 뜻을 가졌으며, 따라서 "크리스(트)나"로 표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크리슈나"의 의미는 "검은 자"가 아니라 "순결한, 성스러운 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자콜리오는 "기름이 부어/발라지다"란 의미를 가진 그리스어 "크리스토스"의 경우도 "성별되다"는 제 2차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이 둘은 그 뜻이 통한다고 무리한 추측을 한다.

블라바트스키는 자콜리오의 이 주장을 철저하게 신뢰하면서,  "크리슈나"를 "검다"는 의미를 가진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것은 틀렸으며, 이 점을 자콜리오가 분명하게 밝혔다고 {Isis Unveiled}의 주석에 아래와 같이 적었다.

158:* In his debate with Jacolliot upon the right spelling of the Hindu Christna, Mr. Textor de Ravisi, an ultramontane Catholic, tries to prove that the name of Christna ought to be written Krishna, for, as the latter means black, and the statues of this deity are generally black, the word is derived from the color. We refer the reader to Jacolliot's answer in his recent work, "Christna et le Christ," for the conclusive evidence that the name is not derived from the color. --- Blavatski {Isis Unveiled}

이후 블라바트스키는 설명을 약간 바꾼다. {Studies in Occultism}의 제 4부인 {The Esoteric Character of the Gospels}에서는 "크리슈나"의 "크리스"가 "성스러운"이란 뜻을 가졌다고 주장한 자콜리오의 산스크리트어 이해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한 듯 어근 설명을 아래와 같이 수정했다.


Aryan Theosophical Press, H.P. Blavatsky {Studies in Occultism}, https://archive.org/details/studiesinoccult00presgoog

Having said so much, a few more facts may be added to the etymology of the two terms. [Christos] being the verbal adjective in Greek of [chrio] "to be rubbed on," as ointment or salve, and the word being finally brought to mean "the Anointed One," in Christian theology; and Kri, in Sanskrit, the first syllable in the name of Krishna, meaning "to pour out, or rub over, to cover with," (#37) among many other things, this may lead one as easily to make of Krishna, "the anointed one." Christian philologists try to limit the meaning of Krishna's name to its derivation from Krish, "black"; but if the analogy and comparison of the Sanskrit with the Greek roots contained in the names of Chrestos, Christos, and Chrishna, are analyzed more carefully, it will be found that they are all of the same origin.

주석 #37 On the best authority the derivation of the Greek Christos is shown from the Sanskrit root ghrish = "rub"; thus: ghrish-a-mi-to, "to rub," and ghrish-ta-s "flayed, sore." Moreover, Krish, which means in one sense to plough and make furrows, means also to cause pain, "to torture to torment," and ghrsh-ta-s "rubbing"— all these terms relating to Chrestos and Christos conditions. One has to die in Chrestos, i.e., kill one's personality and its passions, to blot out every idea of separateness from one's "Father," the Divine Spirit in man; to become one with the eternal and absolute Life and Light (SAT) before one can reach the glorious state of Christos, the regenerated man, the man in spiritual freedom.

블라바트스키의 "새로운 주장"을 한번 정리해 보자. 마치 일관적인 진술로 보이지만, 여기엔 사실과 추론이 뒤섞여 있다.

  1. "크리스토스"의 어근은 "(연고/기름을) 문질러 바르다"를 뜻하는 그리스어 "크리오"이다. 여기서 "기름부은 받은 자"의 의미가 유도되었다.
  2. 블라바트스키의 주장에 따르면, 크리슈나의 이름은 "크리"와 "슈-나"로 그 음절이 분리되는데, 첫 음절 "크리/Kri/कृ "의 산스크리트어에의 의미를 확장하면 "부(어 적시)다", "문지르다", "뒤덮다" 등을 뜻한다. 여기서 다시 의미를 확장하면 "크리슈나"도 "기름부음 받은 자"를 뜻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3. 주석 #37에서 블라바트스키는 그리스어 어근 "크리오"와 산스크리트어 어근 "그리쉬/ghrish"가 모두 "문지르다"를 뜻한다고 본다. 
  4. 여기서 다시 산스크리트어의 또 다른 어근  "크리쉬/Krs/Krsi"의 뜻인 "쟁기길 하다, 끌다, 긁다"를 확장해 "고통을 유발하다" "고문을 가하다"라는 뜻으로 확대한다. 
  5. 여기서 다시 "고통을 당하고 죽은 자" = "크리슈나"란 개념을 유도한다.
  6. 여기서 다시 "크리슈나" = "크리스토스"의 공식을 유도한다.
  7. 기독교도들은 (이를 은폐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크리슈나"의 뜻을 "검은"이란 뜻으로 축소시키려 한다.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추론일까?

우선 블라바트스키가 이야기하는 그리스어 어근 "크리오" 에 대한 설명은 정확하다. 문제는 산스크리트어 어근에 대한 블라바트스키의 설명에 있다. 블라바트스키는 "크리슈나"의 첫음절과 비슷하게 들리는 여러 산스크리트어 어근을 비일관적으로 끌어들여서 (가령, 크리, 크리스, 그리쉬...etc), 그 어근의 다양한 뜻 (1차의 의미 및 유도된 의미)을 자신의 목적에 맞춰 재조합했다. 유감스럽게도 오늘날의 어느 인도학 학자도 자콜리오와 블라바트스키의 주장을 더 이상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Monier-williams, Monier, Sir,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details/in.ernet.dli.2015.31959



"크리슈나"와 "크리스"의 의미를 직접 찾아보도록 하자.

  1. 산스크리트어-영어 사전: 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mwquery/
  2. 산스크리트어-영어 사전 모음: 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

자콜리오와 블라바트스키는 우선 "크리슈나"를 "크리-슈나"로 쪼갠 후 산스크리트어 어근 "크리/Kri/कृ "를 "붓다, 문지르다, 뒤덮다"란 뜻으로 새김으로써 "크리스토스"의 어근인 그리스어 " χρίω 크리오"의 의미와 비슷하게 들리게 윤색한다.

그러나 이 산스크리트어 어근의 1차의미는 "~을 하다"란 뜻이며 결과적으로 "어떤 동작"이든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블라바트스키의 의도에는 아주 정확히 부합하는 단어라 하겠다.

kṛ

Whitney Roots links: kf1, kf3

(H1) kṛ 1 [p= 301,1] [p= Page301,2] [p= Page301,3] [p= 300,3] [L=54148]

Ved. (I) cl.2 P. 2. sg. kárṣi du. kṛthás pl. kṛthá ; A1. 2. sg. kṛṣé ; impf. 2. and 3. sg. ákar , 3. sg. rarely ákat ( S3Br. iii , xi) ; 3. du. ákartām ; pl. ákarma , ákarta (also BhP. ix) , ákran (aor. , according to Pa1n2. 4-2 , 80 Ka1s3. ) ; A1. ákri ( RV. x , 159 , 4 and 174 , 4) , ákṛthās ( RV. v , 30 , 8) , ákṛta ( RV. ) ; akrātām ( S3a1n3khS3r. ) , ákrata ( RV. AV. ) : Impv. kṛdhí (also MBh. i , 5141 and BhP. viii) , kṛtám,kṛtá ; A1. kṛṣvá , kṛdhvám ; Subj. 2. and 3. sg. kar pl. kárma , kárta and kartana , kran ; A1. 3. sg. kṛta ( RV. ix , 69 , 5) , 3. pl. kránta ( RV. i , 141 , 3) : Pot. kriyāma ( RV. x , 32 , 9) ; pr. p. P. (nom. pl.) krántas A1. krāṇá. (II) cl.1 P. kárasi , kárati , kárathas , káratas , káranti ; A1. kárase , kárate , kárāmahe: impf. ákaram , ákaras , ákarat (aor. , according to Pa1n2. 3-1 , 59) : Impv. kára , káratam , káratām: Subj. káram , kárāṇi , káras , kárat , kárāma , káran ; A1. karāmahai ; pr. p. f. kárantī ( Naigh. ) (III) cl.5 P. kṛṇómi , °ṇóṣi , °ṇóti , kṛṇuthás , kṛṇmás and kṛṇmasi , kṛṇuthá , kṛṇvánti ; A1. kṛṇvé , kṛṇuṣé , kṛṇuté , 3. du. kṛṇvaíte ( RV. vi , 25 , 4) ; pl. kṛṇmáhe , kṛṇváte: impf. ákṛṇos , ákṛṇot , ákṛṇutam , ákṛṇuta and °ṇotana ( RV. i , 110 , 8) , ákṛṇvan ; A1. 3. sg. ákṛṇuta pl. ákṛṇudhvam , ákṛṇvata: Impv. kṛṇú or kṛṇuhí or kṛṇutā́t , kṛṇótu , kṛṇutám , kṛṇutā́m , 2. pl. kṛṇutá or kṛṇóta or kṛṇótana , 3. pl. kṛṇvántu ; A1. kṛṇuṣvá , kṛṇutā́m , kṛṇvā́thām , kṛṇudhvám: Subj. kṛṇávas , °ṇávat or °ṇávāt , kṛṇávāva , °ṇávāma , °ṇávātha , °ṇávatha , °ṇávan ; A1. kṛṇávai (once °ṇavā RV. x , 95 , 2) , kṛṇavase (also S3vetUp. ii , 7 v.l. °ṇvase) , kṛṇavate , kṛṇávāvahai , kṛṇávāmahai , 3. pl. kṛṇávanta ( RV. ) or kṛṇavante or kṛṇvata ( RV. ) : Pot. A1. kṛṇvītá ; pr. p. P. kṛṇvát (f. °vatī́) A1. kṛṇvāṇá. (IV) cl.8. (this is the usual formation in the brāhmaṇas ; sūtras , and in classical Sanskrit) P. karómi (ep. kurmi MBh. iii , 10943 R. ii , 12 , 33) ; kurvás,kuruthás,kurutás,kurmás ([kulmas in an interpolation after RV. x , 128]) , kuruthá,kurvánti ; A1. kurvé , &c , 3. pl. kurváte ( Pa1n2. 6-4 , 108-110) : impf. akaravam , akaros , akarot , akurva , &c ; A1. 3. sg. akuruta pl. akurvata: Impv. kuru , karotu (in the earlier language 2. and 3. sg. kurutāt , 3. sg. also BhP. vi , 4 , 34) , kuruta or kurutana ( Nir. iv , 7) ; A1. kuruṣva , kurudhvam , kurvátām: Subj. karavāṇi , karavas , °vāt , °vāva or °vāvas ( Pa1n2. 3-4 , 98 Ka1s3. ) , °vāma or °vāmas (ib.) , °vātha , °van ; A1. karavai , kuruthās , karavāvahai ( TUp. ; °he MBh. iii , 10762) , karavaithe,°vaite ( Pa1n2. 3-4 , 95 , Ka1s3. ) , °vāmahai(°he MBh. R. i , 18 , 12) : Pot. P. kuryām A1. kurvīya ( Pa1n2. 6-4 , 109 and 110) ; pr. p. P. kurvát (f. °vatī́) ; A1. kurvāṇá: perf. P. cakā́ra , cakártha , cakṛvá , cakṛmá , cakrá ( Pa1n2. 7-2 , 13) ; A1. cakré , cakriré ; p. cakṛvas (acc. cakrúṣam RV. x , 137 , 1) ; A1. cakrāṇa ( Vop. ) : 2nd fut. kariṣyáti ; Subj. 2. sg. kariṣyā́s ( RV. iv , 30 , 23) ; 1st fut. kártā: Prec. kriyāsam: aor. P. Ved. cakaram ( RV. iv , 42 , 6) , acakrat ( RV. iv , 18 , 12) , ácakriran ( RV. viii , 6 , 20) ; A1. 1. sg. kṛske ( RV. x , 49 , 7) ; Class. akārṣīt ( Pa1n2. 7-2 , 1 Ka1s3. ; once akāraṣīt BhP. i , 10 , 1) ; Pass. aor. reflex. akāri and akṛta ( Pa1n2. 3-1 , 62 Ka1s3. ) : Inf. kártum , Ved. kártave , kártavaí , kártos (» ss.vv.) ; ind.p. kṛtvā́ , Ved. kṛtvī́ ([ RV. ]) and kṛtvā́ya ([ TS. iv , v]) ;

to do , make , perform , accomplish , cause , effect , prepare , undertake RV. &c ;

to do anything for the advantage or injury of another (gen. or loc.) MBh. R. &c ;

to execute , carry out (as an order or command) ib. ;

to manufacture , prepare , work at , elaborate , build ib. ;

to form or construct one thing out of another (abl. or instr.) R. i , 2 , 44 Hit. &c ;

to employ , use , make use of (instr.) S3vetUp. Mn. x , 91 MBh. &c ;

to compose , describe R. i ;

to cultivate Ya1jn5. ii , 158 (cf. Mn. x , 114) ;

to accomplish any period , bring to completion , spend (e.g. varṣāṇi daśa cakruḥ , " they spent ten years " MBh. xv , 6 ; kṣaṇaṃ kuru , " wait a moment " MBh. ; cf. kritakṣaṇa) ;

to place , put , lay , bring , lead , take hold of (acc. or loc. or instr. e.g. ardháṃ- √kṛ , to take to one's own side or party , cause to share in (gen. ; » 2. ardhá) ; haste or pāṇau- √kṛ , to take by the hand , marry Pa1n2. 1-4 , 77 ; hṛdayena- √kṛ , to place in one's heart , love Mr2icch. ; hṛdi- √kṛ , to take to heart , mind , think over , consider Ra1jat. v , 313 ; manasi- √kṛ id. R. ii , 64 , 8 Hcar. ; to determine , purpose [ind.p. °si-kṛtvā or °si-kṛtya] Pa1n2. 1-4 , 75 ; vaśe- √kṛ , to place in subjection , become master of Mn. ii , 100) ;

to direct the thoughts , mind , &c (mánas [ RV. Mn. MBh. &c ] or buddhim [ Nal. xxvi , 10] or matim [ MBh. R. ] or bhāvam [ib.] , &c ) towards any object , turn the attention to , resolve upon , determine on (loc. dat. inf. , or a sentence with iti e.g. mā śoke manaḥ kṛthāḥ , do not turn your mind to grief Nal. xiv , 22 ; gamanāya matiṃ cakre , he resolved upon going R. i , 9 , 55 ; alābuṃ samutsraṣṭuṃ manaś cakre , he resolved to create a gourd MBh. iii , 8844 ; draṣṭā tavā*smī*ti matiṃ cakāra , he determined to see him MBh. iii , 12335) ;

to think of (acc.) R. i , 21 , 14 ;

to make , render (with two acc. e.g. ādityaṃ kāṣṭhām akurvata , they made the sun their goal AitBr. iv , 7) RV. S3Br. &c ;

to procure for another , bestow , grant (with gen. or loc.) RV. VS. S3Br. &c ;

A1. to procure for one's self , appropriate , assume S3Br. Br2A1rUp. Mn. vii , 10 &c ;

to give aid , help any one to get anything (dat.) RV. VS. ;

to make liable to (dat.) RV. iii , 41 , 6 S3Br. iv ;

to injure , violate (e.g. kanyāṃ- √kṛ , to violate a maiden) Mn. viii , 367 and 369 ;

to appoint , institute ChUp. Mn. ;

to give an order , commission Mn. R. ii , 2 , 8 ;

to cause to get rid of , free from (abl. or -tas) Pa1n2. 5-4 , 49 Ka1s3. ;

to begin (e.g. cakre śobhayitum purīm , they began to adorn the city) R. ii , 6 , 10 ;

to proceed , act , put in practice VS. S3Br. AitBr. &c ;

to worship , sacrifice RV. S3Br. Mn. iii , 210 ;

to make a sound (svaram or śabdam) MBh. iii , 11718 Pa1n2. (iv , 4 , 34 Hit. ) , utter , pronounce (often ifc. with the sounds phaṭ , phut , bhāṇ , váṣaṭ , svadhā́ , svā́hā , hiṃ) , pronounce any formula ( Mn. ii , 74 and xi , 33) ;

(with numeral adverbs ending in dhā) to divide , separate or break up into parts (e.g. dvidhā- √kṛ , to divide into two parts , ind.p. dvidhā kṛtvā or dvidhā-kṛtya or -kāram Pa1n2. 3-4 , 62 ; sahasradhā- √kṛ , to break into a thousand pieces) ;

(with adverbs ending in vat) to make like or similar , consider equivalent (e.g. rājyaṃ tṛṇa-vat kṛtvā , valuing the kingdom like a straw Vet. ) ;

(with adverbs ending in sāt) to reduce anything to , cause to become , make subject (» ātma-sāt , bhasma-sāt) Pa1n2. 5-4 , 52 ff. The above senses of √kṛ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almost infinitely extended according to the noun with which this root is connected , as in the following examples: sakhyaṃ- √kṛ , to contract friendship with ;

pūjāṃ- √kṛ , to honour ;

rājyaṃ- √kṛ , to reign ;

snehaṃ- √kṛ , to show affection ;

ājñāṃ or nideśaṃ or śāsanaṃ or kāmaṃ or yācanāṃ or vacaḥ or vacanaṃ or vākyaṃ- √kṛ , to perform any one's command or wish or request &c ;

dharmaṃ- √kṛ , to do one's duty Mn. vii , 136 ;

nakhāni- √kṛ , " to clean one's nails " » kṛta-nakha ;

udakaṃ ([ Mn. Ya1jn5. R. Das3. ]) or salilaṃ ([ R. i , 44 , 49]) √kṛ , to offer a libation of Water to the dead ;

to perform ablutions ;

astrāṇi- √kṛ , to practise the use of weapons MBh. iii , 11824 ;

darduraṃ- √kṛ , to breathe the flute Pa1n2. 4-4 , 34 ;

daṇḍaṃ- √kṛ , to inflict punishment &c Vet. ;

kālaṃ- √kṛ , to bring one's time to an end i.e. to die ;

ciraṃ- √kṛ , to be long in doing anything , delay ;

manasā (for °si » above ) √kṛ , to place in one's mind , think of , meditate MBh. ;

śirasā- √kṛ , to place on one's the head ;

mūrdhnā- √kṛ , to place on one's head , obey , honour. Very rarely in veda ( AV. xviii , 2 , 27) , but commonly in the brāhmaṇas , sūtras , and especially in classical Sanskrit the perf. forms cakāraandcakre auxiliarily used to form the periphrastical perfect of verbs , especially of causatives e.g. āsāṃ cakre , " he sat down " ;

gamayā́ṃ cakāra , " he caused to go " [see Pa1n2. 3-1 , 40 ; in veda some other forms of √ kṛ are used in a similar way , viz. pr. karoti S3a1n3khS3r. ; impf. akar MaitrS. and Ka1t2h. ; 3. pl. akran MaitrS. and TBr. ; Prec. kriyāt MaitrS. Pa1n2. 3-1 , 42) ; according to Pa1n2. 3-1 , 41 , also karotu with √vid]. Caus. kārayati , °te , to cause to act or do , cause another to perform , have anything made or done by another (double acc. instr. and acc. [see Pa1n2. 1-4 , 53] e.g. sabhāṃ kāritavān , he caused an assembly to be made Hit. ; rāja-darśanaṃ māṃ kāraya , cause me to have an audience of the king ; vāṇijyaṃ kārayed vaiśyam , he ought to cause the vaiśya to engage in trade Mn. viii , 410 ; na śakṣyāmi kiṃcit kārayituṃ tvayā , I shall not be able to have anything done by thee MBh. ii , 6) ;

to cause to manufacture or form or cultivate La1t2y. Ya1jn5. ii , 158 MBh. &c ;

to cause to place or put , have anything placed , put upon , &c (e.g. taṃ citrapaṭaṃ vāsa-gṛhe bhittāv akārayat , he had the picture placed on the wall in his house Katha1s. v , 30) Mn. viii , 251. Sometimes the Caus. of √kṛ is used for the simple verb or without a causal signification (e.g. padaṃ kārayati , he pronounces a word Pa1n2. 1-3 , 71 Ka1s3. ; mithyā k° , he pronounces wrongly ib. ; kaikeyīm anu rājānaṃ kāraya , treat or deal with kaikeyī as the king does R. ii , 58 , 16) : Desid. cíkīrṣati (aor. 2. sg. acikīrṣīs S3Br. iii) , ep. also °te , to wish to make or do , intend to do , design , intend , begin , strive after AV. xii , 4 , 19 S3Br. Ka1tyS3r. Mn. &c ;

to wish to sacrifice or worship AV. v , 8 , 3 : Intens. 3. pl. karikrati (pr. p. kárikrat » Naigh. ii , 1 and Pa1n2. 7-4 , 65) , to do repeatedly RV. AV. TS. ;

Class. carkarti or carikarti or carīkarti ([ Pa1n2. 7-4 , 92 Ka1s3. ]) , also carkarīti or carikarīti or carīkarīti or cekrīyate ([ib. Sch. Vop. ]) ; ([cf. Hib. caraim , " I perform , execute " ; ceard , " an art , trade , business , function " ; sucridh , " easy " ; Old Germ. karawan , " to prepare " ; Mod. Germ. gar , " prepared (as food) " ; Lat. creo , ceremonia ; κραίνω , κρόνος.])

(H1) kṛ 2 [p= 304,1] [L=54683] cl.3 P. p. cakrát (Pot. 2. sg. cakriyās ; aor. 1. sg. akārṣam [ AV. vii , 7 , 1] or akāriṣam [ RV. iv , 39 , 6]) , to make mention of , praise , speak highly of (gen.) RV. AV. : Intens. (1. sg. carkarmi , 1. pl. carkirāma , 3. pl. carkiran ; Impv. 2. sg. carkṛtā́t and carkṛdhi ; aor. 3. sg. A1. cárkṛṣe) id. RV. AV. (cf. kārú , kīrí , kīrtí.)

(H1) kṛ 3 [L=54684]

to injure , &c » √2. kṝ.

다음으로는 어근 "크리스/크리시"의 의미를 살펴보자. 이 경우에 "크리슈나"는 "크리슈-나"로 분절된다. (잠깐, 그러나 위에서 자콜리오/블라바트스키는 "크리슈나"를 "크리-슈-나"로 분절하지 않았던가?)

산스크리트어 사전에서 이 어근의 의미를 확인해 보자.

kṛṣ

Whitney Roots links: kfz

(H1) kṛṣ 1 [p= 306,1] [L=55083]

cl.1 P. kárṣati , rarely A1. °te (perf. cakarṣa , 2. sg. °ṣitha Pa1n2. 7-2 , 62 Ka1s3. ; fut. karkṣyati or krakṣy° ; kṛṣiṣy° DivyA7v. xvii ; karṣṭā or kraṣṭā Pa1n2. 7-2 , 10 Ka1s3. ; aor. akṛkṣat [or akārkṣīt] or akrākṣīt , iii , 1 , 44 Va1rtt. 7 ; inf. kraṣṭum) , to draw , draw to one's self , drag , pull , drag away , tear RV. AV. S3Br. &c ;

to lead or conduct (as an army) MBh. ;

to bend (a bow) Ragh. v , 50 ;

to draw into one's power , become master of , overpower Mn. ii , 215 MBh. iv , 20 R. Pan5cat. ;

to obtain Mn. iii , 66 ;

to take away anything (acc.) from any one (acc.) Vop. v , 8 ;

to draw or make furrows , plough RV. viii , 22 , 6 La1t2y. v , 1 , 4 Vait. (A1.) R. iii , 4 , 12 BhP. (ind.p. kṛṣṭvā): cl.6 P. A1. kṛṣáti , °te (p. kṛṣát) , to draw or make furrows , plough RV. AV. TS. S3Br. &c ;

A1. to obtain by ploughing AV. xii , 2 , 16 ;

to travel over MBh. iii , 16021 : Caus. karṣayati , to draw , drag RV. x , 119 , 11 (aor. 1. sg. acikṛṣam) R. Mr2icch. ;

to draw or tear out MBh. iii , 2307 ;

to pull to and fro , cause pain , torture , torment Mn. MBh. &c ;

" to plough " » karṣita: Intens. (pr. p. and Subj. 3. sg. cárkṛṣat ; impf. 3. pl. acarkṛṣur) to plough RV. AV. ;

carīkṛṣyate or Ved. karīk° , to plough repeatedly Pa1n2. 7-4 , 64 ; ([cf. Lith. karszu , pleszau ; Russ. c8eshu ; Lat. verro , vello ; Goth. falh.])

이 어근은 "긁다, 끌다, 당기다"라는 1차의미로부터 "쟁기질하다", "획득하다", "고통을 유발하다", "고문하다". "찢다"...등의 뜻으로 확장될 수 있다.

아하!  그러므로 그리스어 "크리스토스"는 "(기름을) 바르다"란 산스크리트어 어근 "크리"와 "찢다, 고문하다, 고통을 유발시키다"란 또 다른 산스크리트어 어근 "크리시"가 합성된 의미이며, 따라서 "기름부음 받고 고문당한 자"를 뜻하게 되는 것일까? 이 단어를 예수의 시대에 (어떤 경로든) 인도의 종교를 접했던 초기 기독교도들이 그들의 구세주의 호칭을 이 "크리슈나"의 호칭에서 도용한 것일까?



유감스럽게도 그렇게 보기는 힘들다.

위에 언급된 대로, 고전 그리스어 "크리스토스"의 뜻은 "기름에 적셔지다", "기름을 바르다", 등을 의미하는 동사 χρίω /크리오 에서 왔다.

히브리어 (구약)성서는 이집트 프롤레마이오스 왕조인 기원전 3세기-2세기 사이에 그리스어로 처음 번역된 바 있다. 이 번역을 {70인역/LXX}이라고 하는데, 이 그리스어 번역은 그리스어권의 지중해 기독교도들이 채용한 공식버전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이 {70인역}은 이미 예수의 탄생 수 세기 전에 이미 "크리스토스"를 "기름부어진 자"를 뜻하는 히브리아 "마쉬아흐/메시아"에 대한 번역어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 뜻이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대인들이 이 {70인역}을 번역할 때 "마쉬아흐/메시아"란 단어 속에 "고문당해 죽는 자"란 함의를 담지는 않았다.

짧게 말해서, 그리스어 "크리스토스"는 단순히 히브리어 "마쉬아흐"의 대응어였을 뿐이다. 아울러 {신약성서}에서는 오직 "예수"에게만 적용되는 "크리스토스"와는 달리 {구약성서} 속의 "마쉬아흐/크리스토스"는 보다 포괄적인 용례를 가진다.

{70인역} 속의 "마쉬아흐=크리스토스"의 용례는 {레위기} 4:5, 6:15, 21:12, {사무엘 상편} 24:7, 24:11; 26:9, 11, 16, 23, {사무엘 하편} 1:14, 16; 2:5; 19:22; 23:1 {예레미아 애가} 4:20, {아모스} 4:13 {시편} 19:7; 20:6; 88:39 {역대기 하편} 22:7 등에 이 형태가 등장한다.

직접 예를 들어 살펴보자.

{레위기} 4장 5절

וְלָקַח הַכֹּהֵן הַמָּשִׁיחַ מִדַּם הַפָּר וְהֵבִיא אֹתוֹ אֶל־אֹהֶל מוֹעֵֽד׃

5 καὶ λαβὼν ὁ ἱερεὺς ὁ χριστὸς ὁ τετελειωμένος τὰς χεῖρας ἀπὸ τοῦ αἵματος τοῦ μόσχου καὶ εἰσοίσει αὐτὸ ἐπὶ τὴν σκηνὴν τοῦ μαρτυρίου

5 기름 부음을 받은 제사장은 그 수송아지의 피가지고 회막에 들어가서 

{사무엘 하편} 1:14

וַיֹּאמֶר אֵלָיו דָּוִד אֵיךְ לֹא יָרֵאתָ לִשְׁלֹחַ יָֽדְךָ לְשַׁחֵת אֶת־מְשִׁיחַ יְהוָֽה׃

14 καὶ εἶπεν αὐτῷ Δαυιδ πῶς οὐκ ἐφοβήθης ἐπενεγκεῖν χεῖρά σου διαφθεῖραι τὸν χριστὸν κυρίου  

14 다윗이 그에게 호통을 쳤다. "네가 어떻게 감히 겁도 없이 을 들어서, 주님께서 기름을 부어서 세우신 분을 살해하였느냐?" (한국어 새번역)

{예레미아 애가} 4장 20절

רוּחַ אַפֵּינוּ מְשִׁיחַ יְהוָה נִלְכַּד בִּשְׁחִיתוֹתָם אֲשֶׁר אָמַרְנוּ בְּצִלּוֹ נִֽחְיֶה בַגּוֹיִֽם׃ ס

20 πνεῦμα προσώπου ἡμῶν χριστὸς κυρίου συνελήμφθη ἐν ταῖς διαφθοραῖς αὐτῶν οὗ εἴπαμεν ἐν τῇ σκιᾷ αὐτοῦ ζησόμεθα ἐν τοῖς ἔθνεσιν

20 우리의 콧김 곧 여호와께서 기름 부으신 자가 그들의 함정에 빠졌음이여 우리가 그를 가리키며 전에 이르기를 우리가 그의 그늘 아래에서 이방인들 중에 살겠다 하던 자로다 (한국어 개역개정)

{시편} 19:7 (히브리어 {맛소라} 사본에서는 20장)

עַתָּה יָדַעְתִּי כִּי הוֹשִׁיעַ יְהוָה מְשִׁיחוֹ יַעֲנֵהוּ מִשְּׁמֵי קָדְשׁוֹ בִּגְבֻרוֹת יֵשַׁע יְמִינֽוֹ׃

7 νῦν ἔγνων ὅτι ἔσωσεν κύριος τὸν χριστὸν αὐτοῦ ἐπακούσεται αὐτοῦ ἐξ οὐρανοῦ ἁγίου αὐτοῦ ἐν δυναστείαις ἡ σωτηρία τῆς δεξιᾶς αὐτοῦ

야훼께서 기름 부으신 임금에게 승리 주심을, 그 거룩한 하늘에서 그의 기도 들으시고, 오른손 힘차게 뻗어 승리 주심을! (한국어 공동번역)

{신약성서}에서 예수를 "크리스토스/메시아"라고 호칭할 때의 용례는 바로 이 {70인역}의 용례에서 온 것이다.

그럼 BC 3세기의 이 그리스어 번역으로부터 힌두교의 신 "크리슈나"에 대한 암시를 조금이라도 찾을 수 있을까? 혹은 "고문당하다, 고통당하다, 찢기다" 등의 의미를 찾아볼 수 있을까? 정체불명의 어떤 산스크리트어 문서, 혹은 예수의 제자들과 인도문명과의 (가상의) 접촉을 특별히 상정할 이유가 없다.

심지어 자콜리오/블라바트스키는 "의도적"으로 "크리슈나"를 "크리스트나"라고 고쳐서 적고 또 읽는데, 이런 형태의 "크리슈나"는 인도학 학계에 보고된 바 없다. 19/20세기의 인도학 및 산스크리트어 학자들은 이런 자콜리오의 행태에 대해 "부정확"하고 "부정직"하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인도학 및 산스크리트어 전문가들이 산스크리트어를 해독할 줄 몰랐던 자콜리오의 주장들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였는지는 맨 마지막 단락에서 원문을 인용해 설명하겠다.




§ "예제우스" 크리스트나 ?

그럼 이번에는 "예수"라는 이름의 어형변화에 대해 정리해 보자.

이 이름의 원형은 모세를 이은 히브리인의 지도자로서 이집트를 탈출한 히브리인을 이끌고 카나안으로 입성한 "눈의 아들" "예호수아 יהושע" 다. 북 이스라엘 왕국과 남 유다왕국이 각각 앗시리아와 바빌로니아에 의해 멸망한 후 중동 일대로 흩어진 유대인들을 페르시아의 키루스가 다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허용한 BC 5세기의 상황을 담고 있는 구약성서의 문서 {느혜미아}에는 "눈의 아들 예호수아"를 "눈의 아들 예수아 ישוע"로 기록되어 있다. 예수아는 히브리어 예호수아의 아람어 변형이며, 예수 당시의 아람어에서도 역시 "예수아"이다.

이 아람어 형 "예수아"는 그리스어화 되면서 "예수스 Ἰησοῦς"가 되며, {70인역}에서는 이 "예호수아/예수아"를 "예수(스)/Ἰησοῦς"로 표기한다. {느헤미아}의 해당 구절을 히브리어 {맛소라}, 그리스어 {70인역}, 그리고 영어번역으로 비교해 보자.

וַיַּֽעֲשׂוּ כָֽל־הַקָּהָל הַשָּׁבִים מִן־הַשְּׁבִי סֻכּוֹת וַיֵּשְׁבוּ בַסֻּכּוֹת כִּי לֹֽא־עָשׂוּ מִימֵי יֵשׁוּעַ בִּן־נוּן כֵּן בְּנֵי יִשְׂרָאֵל עַד הַיּוֹם הַהוּא וַתְּהִי שִׂמְחָה גְּדוֹלָה מְאֹֽד׃

17 καὶ ἐποίησαν πᾶσα ἡ ἐκκλησία, οἱ ἐπιστρέψαντες ἀπὸ τῆς αἰχμαλωσίας, σκηνὰς καὶ ἐκάθισαν ἐν σκηναῖς· ὅτι οὐκ ἐποίησαν ἀπὸ ἡμερῶν ᾿Ιησοῦ υἱοῦ Ναυῆ οὕτως οἱ υἱοὶ ᾿Ισραὴλ ἕως τῆς ἡμέρας ἐκείνης· καὶ ἐγένετο εὐφροσύνη μεγάλη.

NeHEM-Yah 8:17 And all the congregation of them that were come again out of the captivity made succot, and dwelt under the succot: for since the days of Yeshua ben Nun (Jeshua the son of Nun) unto that day had not the children of Israel done so. And there was very great gladness. 

따라서 예호수아 (히브리어) > 예수아 (아람어) > 예수스 (그리스어) 로의 단계적인 어형번형에 대한 언어학적인 증거는 이미 확보된 것이다.

아람어의 후기 형태인 시리아 (Syriac)에서 예수는 두가지 형태로 호칭되는데 동방 시리아어에서는 "이쇼/예슈"로, 서방 시리아어에서는 "야수 يسوع " 로 불린다. 한편, 이슬람교 출현 이후 무슬림들은 예수를 아랍어로 "이사 ى `īsā"로 불러왔다. 그러나 이 형태는 {코란}의 용례이며, 아랍권의 동방교회들은 현재까지도 예수를 아랍어형 "이사"가 아닌 시리아어형 "야수"로 부르고 있다.

별개의 이야기지만, 힌두교 측 문서 {바비쉬야 푸라나}의 주장에 따라, 예수가 AD 1세기에 인도로 가서 자신을 "이사"라고 호칭했다면, 이것은 상당히 괴이한 시대착오적 사건일 것이다. "예수=이사"는 이슬람교가 출현하는 AD 7세기 이전에 알려진 바 없는 어형이기 때문이다.

다시 자콜리오의 주장으로 돌아가 보자.

자콜리오는 1869년에 출간된 자신의 책 {Bible in India /LA BIBLE DANS L'INDE} 제 14장에서 크리슈나를 "예제우스" 크리스트나로 호칭한 사례로 {바가바드 기타}의 한 장면을 인용한다. (215쪽)

CHAPTER XV. TRANSFIGURATION OF CHRISTNA HIS DISCIPLES GIVE HIM THE NAME OF JEZEUS (PURE ESSENCE.)

Then, one day, when the tyrant of Madura had sent a large army against Christna and his disciples, the disciples, terrified, sought to escape by flight from the danger that menaced them. The faith of Ardjouna himself seemed staggered ; Christna, who was praying near them, having heard their complaints, ad- vanced to their midst, and said : " Why are your spirits possessed with senseless fear ? Know you not, then, who is he that is with you ? " And then, abandoning the mortal form, he appeared to thei i eyes in all the eclat of his Divine Majesty, his brow encircled with such light that Ardjouna and his companions, unable to support it, threw themselves on their faces in the dust, and prayed the Lord to pardon their unworthy weakness. And Christna, having resumed his first form, farther said: "Have you not, then, faith in me ? Know that, present or absent, I shall always be in your midst to protect you." And they, believing from what they had seen, promised nevei thereafter to doubt his power ; and they named him Jezeus, that is to say, issue of the pure divine essence. (Bagaveda-Gita.)

제 14장: 크리스트나의 변모: 제자들이 크리슈나에게 '예제우스' (=순수의 정수)란 이름을 붙여주다

어느날, 마두라의 폭군이 크리스트나와 그의 제자들에 대항해 많은 군대를 보낸 일이 있었다. 크리스트나의 제자들은 겁에 질려서 위험한 상황에서 도피하려고 전정긍등하고 있었다. 아르주나 자신의 믿음조차 위태로와졌다. 그들 근처에서 기도하던 크리스트나는 그들의 불평을 듣고서 그들 가운데로 와서 말했다: "너희 영혼이 왜 무의미한 공포에 사로잡혀 있느냐? 너희는 누가 너희들과 함께 있는지를 알지 못하느냐?" 그러더니 크리슈나는 인간의 몸의 벗어버리고 그의 장엄한 신성을 그들 앞에 드러냈고,그 찬란한 빛 앞에 아르주나와 그의 동료들은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그 얼굴을 흙바닥에 엎드려 주님께 그들의 하잘것 없는 나약함에 대해 용서를 빌었다. 크리슈나는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와 말했다: "너희가 나를 믿지 않느냐? 내가 있든 없든 나는 너희 가운데서 늘 너희를 보호할 것이다." 제자들은 그들이 본 것을 믿게 되었고 다시는 크리슈나의 힘을 의심하지 않겠노라고 맹세했다. 그리고 제자들은 그를 '예제우스'라고 불렀는데, 이는 '순수한 신성의 정수'란 뜻이다 (바가베다-기타)   / 번역: 최광민 

내용인 즉슨, 공포에 떠는 자신의 제자들에게 크리슈나가 자신의 신성을 보여주자 제자들이 크리슈나를 "예제우스"라 부르게 되었고, 그 뜻은 "순수한 신성의 정수"란 것이다.

문제는?

문제는 위에 등장하는 일화와 "예제우스"란 이름이  {바가바드 기타}에 등장하지 "않는다"는데 있다. 즉, 자콜리오는 (의도한 것이든 실수한 것이든) 잘못된 근거를 제시한 셈이다. 이 내용은 당대의 인도학자들이 자콜리오가 언급하거나 인용했다는 원 출처에 대해 강한 의구심을 제기한 사례 가운데 하나다.

자콜리오는 더 나아가 이 "예제우스"로부터 "제우스", "이시스" 등 서방의 신들의 이름이 유래한 것이란 주장으로까지 나아갔다. 그의 {Bible in India ./ "LA BIBLE DANS L'INDE," }를 읽어보자. (제 2장ㅣ 제우스-예제우스-이시스-예수)

Thus, as we have seen, the name, which all nations have assigned the Supreme Being, comes from the Sanscrit expression Zeus. Jezeus, another Sanscrit expression, signifying the pure divine essence, was very certainly the root, the radical origin, of a crowd of other names of antiquity borne alike by gods and by distinguished men. Such as Isis, the Egyptian goddess; Josue, in Hebrew, Josuah, the successor of Moses ; Josias, king of the Hebrews; and Jeseus or Jesus; in Hebrew, Jeosuah. The name of Jesus, or Jeseus, or Jeosuah, very common with the Hebrews, was in ancient India the title, the consecrated epithet assigned to all incarnations, as all legislators adopted the name of Manou. The officiating Brahmins in temples and pagodas now ac cord this title of Jeseus, or pure essence, or divine ernana tion. only to Christna, who is alone recognized as the word, the true incarnation, by the Vischnouites and free-thinkers of Brahminism.

....우리가 보인 바와 같이 최고의 존재에게 붙여져 온 그 이름은 산스크리트어 "제우스"로부터 유래한다. 또 다른 산스크리트어 표현인 "예제우스"는 순수한 신성의 정수를 뜻하는 단어로서 고대로부터 여러 신들과 출중한 위인들의 이름의 확실하고 근본적인 어원이다. 이집트의 여신 "이시스", 히브리인 "요수에" - 즉, 모세의 계승자 "여호수아", "예수" 혹은 "예제우스" 혹은 "에호수아" 처럼 히브리인들에게 흔한 이름은 고대 인도에서 신들의 화신들에게 붙여진 성별된 호칭이었다. 이것은 마치 모든 입법자들이 마누의 이름을 취한 것과 같다. 인도의 신전들과 탑사의 브라민 (힌두교 승려)들은 현재 "예제우스" 혹은 "순수한 정수" 혹은 "신성한 발현" 이란 이 단어를 비쉬누교도들과 브라만교의 자유사상가들에 의해 '말씀'이자 참 화신으로 유일하게 간주되는 크리스트나에게만 적용하고 있다..... 루이 자콜리오, {인도 속의 성서} / 번역: 최광민

이 주장은 "치우/蚩尤"로 부터 "제우스"가 유래했고, 한국어 "이 집터"에서 "이집트"가 유래했다고 주장하는 대한민국의 어떤 "민족주의자들"의 주장만큼이나 놀랍다.




§ 당대 인도/산스크리트어 학자들의 평가

그럼 당대의 동양학자 Elizabeth Armstrong Reed (1842-1915)가 자콜리오의 주장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었는지 살펴보자. 리드는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대영제국 철학학회와 국제동양학회 (The Philosophical Societt Of Great Britain /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Orientalist)의 정회원이 되었던 인물이다.

리드의 {힌두문학 / Hindu literature : or, The ancient books of India (1899)}에서 인용한다.


Reed, Elizabeth A. (Elizabeth Armstrong), 1842-1915, {Hindu literature, or, The ancient books of India}, https://archive.org/details/hinduliteratureo00reedrich

"...The resemblances to Christian history in the life of Krishna are, however, very slight, even in the most recent forms of Hindu literature ; but it must be confessed that others have been added in modem times by men who cannot read a word of Sanskrit. His name has been spelled Chrishna, or even Christna, apparently for the purpose of confounding the two. He has also been called Yezens, and sometimes Jezeus for the same reason. But the dishonesty of this course (provided always it is not the result of ignorance) is unpardonable.  The name of Yezeus as an appellation of Krishna was invented, according to Max Muller, by a fanciful Frenchman.....The statement that Krishna was bom in a cave, that his herald was a star and his presents gold and frankincense, etc., are all the productions of a vivid imagination in very modern times. The idea that he was born of a virgin cannot be entertained for a moment by any one who is at all acquainted with the subject, in view of the great prominence given to Krishna's older brother in Hindu literature. In their standard works the statement is repeatedly made, that Krishna was the eighth child of his mother, and the Vishnu-purana informs us that her first six children were the offspring of the demon, Hiranyakasipu. Dr. Leitner, Vice-Chancellor of the University of Punjab, writes that *^ Krishna is a half historical character, and the coincidences of his life and that of Christ are too vague to justify the least connection with the narrative regarding Christ, or vice versa "

여기서 리드는 몇가지 중요한 지적을 한다.

  1. 아주 최근까지 발전된 형태의 힌두교 문헌을 고려하더라도, 예수와 크리슈나의 일대기에는 거의 유사점이 없다.
  2. 예수와 크리슈나가 유사하다고 주장되는 내용들은 아주 최근에 산스크리트어를 한 글자도 읽지 못하는 사람들에 의해 추가된 것이다. 자콜리오가 대표적이다. 
  3. 자콜리오는 Krishna를 Chrishna 혹은 Christna 등으로 표기함으로써, "크리슈나"와 "크리스토스"를 의도적으로 혼동시키고 있다.
  4. 자콜리오는 크리슈나를 "예제우스"로 부름으로써 역시 "예수"와 의도적으로 혼동시키고 있다.
  5. 자콜리오가 실수한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이런 일을 한 것이라면, 그의 부정직함은 용서받기 힘들다.

같은 단락에서 리드는 리처드 콜린스가 대영철학학회에서 강연한 내용을 들고 있다. (Richard Collins, {Krishna and Solar Myths}, 174 페이지 Trans. Vic Inst., Vol. XXI, p. 174.)

in his address before the Philosoph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says: "The addition of the name Jezeus to Krishna has no warrant from any Hindu book that I am acquainted with. It bears no resemblance to any of the many names by which Krishna is commonly denoted in India, and it is not possible for it to be a transliteration of any imaginable combination of letters, .either in iSanskrit or in any of the dialects of South India.

....대영철학학회에서 한 그의 강연에서, 콜린스는 이렇게 말한다: "'예제우스'란 이름을 '크리슈나'에 가져다 붙이는 사례는 내가 아는 한 어떤 힌두교 문헌에서도 입증되지 않았다. 이런 호칭은 인도에서 크리슈나에게 붙여진 잘 알려진 어떤 호칭과도 유사하지 않으며, 산스크리트어나 혹은 다른 어떤 남인도의 방언에 등장하는 가상의 단어에서 직역되었을 가능성도 없다..... --- 리처드 콜린스, {크리슈나와 태양신화} / 번역: 최광민

    즉, "예제우스"의 용례는,

    1. 지금까지 보고된 어떤 힌두 문헌에도 등장하지 않으며,
    2. 인도에서 크리슈나에게 적용되어 온 수많은 이름들과도 어떤 유사점이 없으며, 
    3. 산스크리트어나 혹은 다른 어떤 남방 인도방언으로부터 발음 그대로 직역(transliteration)이라 보기에도 철자의 조합이 맞지 않는다.

    해당부분의 주석에서, 리드는 옥스포드와 캐임브릿지의 인도학자들인 막스 뮐러와 E.B. 코웰이 자콜리오의 이 주장에 대해 어떻게 평가했는지를 인용하고 있다.

    주석1 Prof. Muller writes: "The name Yezeus was invented, I believe, by Jacolliot, and is a mere corruption of Yadu. I answered Jacolllot once (Int.to Scl. of Rel. page 24), but these books hardly deserve notice." (Trans. Vic.Inst., Vol. xxi, page 179.) Sir Monier Williams and Prof. E. B. Cowell of Cambridge think that the name Jezeus may be a corruption of the word Isa, which properly belongs as a title to Siva.

    주석: (막스) 뮐러 교수는 "나는 자콜리오가 보고한 '예제우스'란 이름이 조작된 이름이며 단지 '야두'란 단어가 변형된 것이라고 믿는다. 나는 자콜리오에게 이미 이 책들은 주목할 필요가 거의 없다고 이미 한번 (Int. to. Scl. of Rel. p24) 언질한 바가 있다."라고 적었다. 모니어 윌리엄스 경과 캠브릿지 대학의 E. B. Cowell 교수는 '예제우스'란 단어는 어쩌면 시바신의 호칭 가운데 하나인 '이사'란 단어의 변형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 번역: 최광민

    막스 뮐러의 견해 ({The Essential Max Müller: On Language, Mythology, and Religion})에 따르면, 이 "예제우스"란 이름은 자콜리오에 의해 "만들어진 단어"이며, 크리슈나가 속한 부족 명인 "야두"의 단순한 오기라고 여긴다. 옥스포드의 막스 뮐러는 이 점에 대해 자콜리오에게 학술지를 통해 공식적으로 답변했으며 자콜리오의 저작들을 학문적으로 고려할 가치가 거의 없는 문서들로 여겼다.  한편, 캐임브릿지의 코웰은 "예제우스"란 조작된 단어는 힌두교의 신 시바의 다른 호칭인 "이사(주님)"에서 왔다고 여긴다.

    아래는 자콜리오의 주장을 영상물 {시대정신/Zeitgeist: the Movie}로 옮기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현대의 카피캣 이론가 아차리아 S의 책 {Suns of God}이다. 여전히 자콜리오의 주장을 옮기고 있다.


    Acharya S / DM Murdock, {Suns of God}

    한편 "지배자/주님"를 뜻하는 이 산스크리트어 "이사/Isa"란 단어를 두고, 두 종류의 카피캣 이론들이 또 등장할 것이다. 하나는 "시바=예수" 계열일 것이고, 다른 계열은 (아이러니하게도) 힌두교 문서 {바비쉬야 푸라나}에 근거한 "예수 = 불제자" 계열이 그것이다.

    이 두 형태의 카피캣 이론에 대해서는 {예수 vs. 붓다} 시리즈에서 차차 다루도록 하겠다. (사실, "이사"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주님"을 뜻하는 시바신의 별칭이다.)

     īśa

    (H2) īśá [L=29834] mfn. owning , possessing , sharing
    [L=29835] one who is completely master of anything
    [L=29836] capable of (with gen.)
    [L=29837] powerful , supreme
    [L=29838] a ruler , master , lord Mn. S3Br. MBh. Kum. &c
    (H2B) īśá [L=29839] m. a husband L.
    (H2B) īśá [L=29840] m. a rudra
    (H2B) īśá [L=29841] m. the number " eleven " (as there are eleven rudras)
    (H2B) īśá [L=29842] m. N. of śiva as regent of the north-east quarter MBh. Hariv. R. S3ak. &c
    (H2B) īśá [L=29843] m. N. of śiva
    (H2B) īśá [L=29844] m. of kuvera
    (H2) īśa [p= 1321,1] [L=321690] (in comp.)


    판단은 각자의 몫.


    草人






    라벨:





    Scientist. Husband. Daddy. --- TOLLE. LEGE
    외부자료의 인용에 있어 대한민국 저작권법(28조)과 U.S. Copyright Act (17 USC. §107)에 정의된 "저작권물의 공정한 이용원칙 | the U.S. fair use doctrine" 을 따릅니다.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본문 발췌, (3) 무단배포를 위한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URL 주소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후원 | 운영] [대문으로] [방명록] [옛 방명록] [티스토리 (백업)] [신시내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