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oogleSearch




Scientist. Husband. Daddy. --- TOLLE. LEGE
외부자료의 인용에 있어 대한민국 저작권법(28조)과 U.S. Copyright Act (17 USC. §107)에 정의된 "저작권물의 공정한 이용원칙 | the U.S. fair use doctrine" 을 따릅니다.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본문 발췌, (3) 무단배포를 위한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URL 주소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후원 | 운영] [대문으로] [방명록] [옛 방명록] [티스토리 (백업)]

이 블로그 검색

[© 최광민] 예수 vs. 호루스 #3: '마리아'란 이름은 이시스의 "호칭"에서 왔을까?

라벨:


작성

© 최광민, Kwangmin Choi, 2009-10-02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글들에 대해 저자의 동의없는 전문복제/배포 - 임의수정 및 자의적 발췌를 금하며, 인용 시 글의 URL 링크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목

[© 최광민]  예수 vs. 호루스 #3: '마리아'란 이름은 이시스의 "호칭"에서 왔을까?

순서
  1. 어떤 주장
  2. 이시스-미리/메리 = 마리아?
    1. 정리

      § 어떤 주장

      카피캣 이론가 아차리아 S (=D.M. 머독) 는 이시스가 이집트어로 "Isis-Meri" (정확히는 -Mr-ee)로 불렸기 때문에, 예수의 어머니인 "마리아"(영어로 Mary)가 사실인 이 "-Meri"에서 온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호루스의 어머니와 예수의 어머니는 이름조차 같다는 주장이다.{시대정신/Zeitgeist: the Movie}은 감수를 맡은 아차리아 S의 주장을 그대로 옮겨적었다.이 동영상은 아차리아 S (본명: D . M. Murdock)의 주장을 아래와 같이 짤막하게 간추리고 있다

      사실상 이 주장의 기원은 AD 19세기 영국 시인이자 아마추어 신화학자 제럴드 메이시에게 소급된다. 하지만 아차리아 S가 빚지고 있는 메이시는 막상 이 "메리/미리"를 이시스가 아니라 (호루스의 배우자로 종종 등장하는) "하토르"와 연관지었다

      일단 메이시를 인용한다

      Meri denotes love, the beloved. Hathor = Meri was the Egyptian goddess of love; and the Virgin Mary is, or was, worshipped by the Kypriotes under the name of Aphroditissa. 1 Hathor = Meri was the habitation {hat) of the child Horus, who is typified as the bird of soul or spirit, and in the Christian mysteries the feminine Holy Spirit was held to be the mother of the Seven Houses. 2 Madonna Mary is worshipped in Rome as the "House consecrated to God," the "Tabernacle of the Holy Ghost," the "dwelling-place," or sabulo 3 (cf. the Hebrew zabul, the habitation as the tower of heaven which was a figure of the great mother). Hathor, like Mary, was worshipped as the Queen of heaven. Hathor was "our Lady" in Egypt as Mary is in Rome. Mary was pourtrayed in the tree, like Nut and Hathor. She wore the veil that Isis declared had never been lifted by male nature. She appears as the Black Virgin, although tradition asserts truly that she only changed to that com- plexion during her sojourn in Egypt. -- Gerald Masseay, {The Natural Genesis}

      "메리/미리"는 "사랑", "사랑받는 자"를 뜻한다. 하토르-메리/미리는 이집트의 사랑의 여신이다. ....(중략)... 하토르는 마리아처럼 하늘의 여왕으로 숭배받았으며, 로마에서는 하토르를 마리아처럼 "우리의 숙녀(즉, 마돈나)"로 불렀다. ....(후략) --- 번역: 최광민



      그럼 이번에는 아차리아 S의 주장을 그대로 옮기고 있는 영상물 {시대정신}의 나레이션을  옮긴다


      Broadly speaking, the story of Horus is as follows:
      1. Horus was born on December 25th of the virgin Isis-Meri. 호루스는 12월 25일에 처녀인 "이시스-메리"에게서 태어났고
      2. His birth was accompanied by a star in the east, which in turn, three kings followed to locate and adorn the new-born savior
      3. At the age of 12, he was a prodigal child teacher, and
      4. at the age of 30 he was baptized by a figure known as Anup and thus began his ministry.
      5. Horus had 12 disciples he traveled about with, performing miracles such as healing the sick and walking on water. 
      6. Horus was known by many gestural names such as The Truth, The Light, God's Annointed Son, The Good Shepherd, The Lamb of God, and many others. 
      7. After being betrayed by Typhon, Horus was crucified, buried for 3 days, and thus, resurrected.

      사실 아차리아 S는 자신의 책 {Christ in Egypt}에서 이 부분을 상당한 자료를 제시하면서 설명하고 있는데, 이 주장은 {시대정신/Zeitgeist: the Movie} 동영상에 짤막하게 언급되는 것처럼 그렇게 쉽게 단정지어서 말할 수 있는 주제가 아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녀의 책조차 읽지 않고 결론만 쉽게 받아들인다




      § 이시스-미리/메리 = 마리아?

      우선 이집트 상형문자의 용례들을 대영박물관의 Wallis Budge가 1920년에 편찬한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 with an index of English words, king list and geological list with indexes, list of hieroglyphic characters, coptic and semitic alphabets, etc.} (1920)를 통해 살펴보자.

      아래의 상형문자들은 "사랑 혹은 사랑받는" 등의 의미를 가진 이 어근이 사용되는 여러 단어의 용례를 보여주고 있다.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 with an index of English words, king list and geological list with indexes, list of hieroglyphic characters, coptic and semitic alphabets, etc.} (1920), https://archive.org/details/egyptianhierogly01budguoft

      "이시스"는 이 여신의 그리스식 발음이며, 이시스의 정확한 고대 이집트어 발음은 분명히 알려져 있지 않아서, 대체로 이세/이사/이시/우사 등과 비슷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집트 상형문자는 자음만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집트 연구자들은 "편의상" 이 자음에 임의로 모음 (대개 "e")을 삽입해서 읽는다. 따라서 많은 고대 이집트어들의 발음은 여전히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

      한편 고대 이집트어에서 -Mr-ee는 "사랑스런" 혹은 "-의 사랑을 받는" 이라는 뜻의 접사이다. 혹은 "사랑하는 자", 혹은 "사랑받는 자" 혹은 "사랑받을 만한 어떤 것" 등을 의미하는 명사가 될 수도 있다



      다시 Budege 책을 살펴보자.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 with an index of English words, king list and geological list with indexes, list of hieroglyphic characters, coptic and semitic alphabets, etc.} (1920)

      우선, "~의 총애를 받는"이란 용례를 살펴보자. "이시스-미리 / 미리-이시스"는 이 용례에 해당하는데, "이시스의 호칭"이 아니라, "이시스의 총애의 대상이 되는 자"의 호칭인 것이다

      아래는 이집트 파라오와 이집트를 통치한 로마 아우구스투스의 문장에 사용된 상형문자이다. 여기서 역시 "아세(트)-미리"는 이시스/Aset 여신의 호칭이 아닌 "이시스의 총애받는-" 자를 부를 때 붙여지는 호칭으로 읽는다. 동일한 문법의 의해, "아멘의 총애를 받는"은 "아멘-미리"가 된다


      "프타와 이시스의 총애/미리"를 받는 왕중의 왕이신 절대군주...


      "아멘의 총애/미리"와 "이시스의 총애/미리"를 받는 테켈렛 2세


      "프타와 이시스의 총애/미리"를 받는 카이사르, 만세

      이런 "-미리/-메리"의 용례는 이보다 한참 이전인 이집트 제 18왕조의 아케나텐 (아크나톤, ~ 아칸야티)의 호루스명인 "메리-아텐"과 그 딸 메리트-아텐 (~ 마야티)의 상형문자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메리-아텐 / 아텐의 총애를 받는 자 (= 아케나텐, 아크나톤의 호루스명)


      메리트-아텐 / 아텐의 총애를 받는 (여)자. ( = 아케나텐의 딸)

      한편, 예수가 태어날 당시, (그리스어 마리아, 아람어/꼽트어 마리암에 해당하는) 히브리 여자이름으로 "미리암"은 아주 흔한 이름이었다. ({복음서}에서만도 복수의 미리암/마리암/마리아가 등장한다.) 이 히브리어 "미리암"이 아마도 이집트어 -미리/미르를 어근으로 했을 가능성 (~메리-아멘/ 아멘-메리)이 많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시스-미리"에서 "미리암/마리아"을 이런 식으로 직접 연결하려면 또 한번의 논리적 도약이 필요하다.



      "이시스-미리"는 이시스의 "호칭"이 아니기 때문에, 아차리아 S는 위에 설명된 일반적인 "이시스-미리/이시스의 사랑받는-" 와 같은 "미리"의 용례로서가 아니라, "-미리" 자체가 아예 "이시스를 지칭하는 호칭", 즉 "사랑스런-이시스"로 사용되는 사례를 들어 "-미리"만으로 "이시스"를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차리아 S가 제시하는 사례는 이집트 Philae에 소재한 이시스 신전에 새겨진 {이시스 찬가} 속의 용례이다

      그럼 직접 살펴보자

      Hymn V

      The King of Upper and Lower Egypt,
      Usikare-meramum, adores his mother Isis, the Lady of the Sky:
      May she come in his house to join his Image,
      Her luminosity flood their faces,
      As (the luminosity of ) Ra when he shows himself in the morning.

      The female Horus, loved by the Great Horus,
      Horus’s Mother, created by Atum,
      Great Royal Bride, joined to ra,
      Who protects her brother Osiris.

      위대한 호루스의 사랑을 받는 여자 호루스여
      아툼이 창조한 호루스의 어며니여
      라와 연합한 위대한 왕비여
      남자형제인 오시리스를 지키는 이여 / 번역: 최광민

      Who possesses the Two Lands,
      Sovereign of Gods and of Goddesses;
      Who attacks the powerful,
      More powerful than the powerful, stronger than the strong ones;
      Who overwhelms millions cutting off (their) heads,
      Great in the Massacre against her Enemy.

      Lady of the flame who assaults the rebels,
      Who kills Apophis in an instant,
      Ra’s Uraeus, the Spiral on his head,
      Who gives orders in the Kings’ of Upper and Lower Egypt boat.

      Oh Isis, the Great, Mother of God, Lady of Philae,
      Horus’s Mother, Ra’s daughter, very loved by his heart,
      Lady of his aspects in the Sacred tent,
      Adored in (his) sanctuaries;

      신의 어머니며, 필레의 여신인 위대한 이시스여
      호루스의 어머니, 라의 딸이며, 그의 깊은 사랑을 받는 이여
      그의 성막에 자리하는 여신이자
      그의 성소에서 경배받는 이여  / 번역: 최광민

      Make long the years for Ra’s son, Master of the Crowns, Tolomeo,
      Steady as the Falcon on Serkh,
      May he gloriously appear as King of Upper and Lower Egypt on Horus’s throne,
      Eternally, as Ra.

      위의 예에서 이시스는 호루스의 어머니이자 라/레의 딸인 이시스는 "호루스의 사랑을 받는 자 (미리-호루스)'이자 "라/레의 사랑을 받는 자 (미리-라/Myr(t)-Re)"이다. 아차리아 S는 여기에서 호루스와 라/레를 떼어낸 후 "이시스는 즉 미리/마리아"라는 또 한번의 도약에 이른다




      § 정리

      생각해 보자

      어떤 신은 그 신자들의 사랑을 받는다는 점에서 "사랑받는 자" 즉 "미리/메리"라 불릴 수 있고, 또 그런 용례는 종종 등장한다. 따라서 "이시스"의 신자들이 이시스를 "사랑하는 임"이란 의미로 "미리/메리"라고 짧게 불렀을 수는 있다. 그러나 아차리아 S는 이에 대한 충분한/분명한 예를 제시하지 못했을 뿐더러, 특별히 이때의 명사 "미리/메리"가 "이시스-미리/메리"라는 형태 속에 등장하는 그 접사 "-메리/-미리"와도 그 의미가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명시하지 않고 있다

      게다가 이 용례는 이시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남신 (가령, 호루스)과 여신을 포함한 어떤 신에게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도 간과되고 있다. 가령 아래의 명문은 호루스에게 '미리/메리'를 적용한다. 그 의미는 "호루스, 그 아버지 (오시리스)의 사랑을 받는 자"이다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with an index of English words, king list and geological list with indexes, list of hieroglyphic characters, coptic and semitic alphabets, etc.}  by Sir E.A. Wallis Budge.

      과연 예수를 낳은 여인 마리아/미리암의 이름은 "이시스의 사랑을 받는 자"라는 이집트어 어형에서 이시스가 탈락되고 "메리/미리"만 남게 된 - 즉 "이집트 종교의 흔적"인 것일까? 아니면 그냥 당시에 유대인 여자의 이름으로 가장 흔한 이름 중 하나인 "미리암"일 뿐인 것일까?

      영상물 {시대정신}은 이렇게 말한다

      We don't want to be unkind,
      but we want to be factual.
      We don't want to cause hurt feelings,
      but we want to be academically correct, in what we understand and know to be true.

      불쾌감을 주려하는게 아닙니다.
      사실에 근거하려는 겁니다.
      감정을 상하게 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사실이라고 알고 이해하는 것들에 대해서
      학문적으로 정확하길 원합니다.

      과연 "학문적으로 정확 academically correct"했을까?

      판단은 각자의 몫.


      草人






      라벨:





      Scientist. Husband. Daddy. --- TOLLE. LEGE
      외부자료의 인용에 있어 대한민국 저작권법(28조)과 U.S. Copyright Act (17 USC. §107)에 정의된 "저작권물의 공정한 이용원칙 | the U.S. fair use doctrine" 을 따릅니다.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본문 발췌, (3) 무단배포를 위한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URL 주소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후원 | 운영] [대문으로] [방명록] [옛 방명록] [티스토리 (백업)] [신시내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