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earch
이 블로그 검색
[© 최광민] 에붐: {종말의식과 인간적 시간 / The Sense of an Ending}
라벨:
책,
철학/사상
이메일로 전송BlogThis!Twitter에서 공유Facebook에서 공유
작성
© 최광민, Kwangmin Choi, 1995-11-15
전문복사, 문맥을 무시한 임의적 발췌/수정, 배포를 금합니다.
제목
종말의식과 인간적 시간 (프랭크 커머드) : Frank Kermode, {The Sense of an Ending}
시계는 묘한 긴장을 가지고 있다. 밤잠을 못이루게 하는 아날로그 시계의 똑딱거리는 초침소리를 생각해보면 분명하리라 생각된다. 똑딱거리는 시계바늘 소리에서 "똑"과 "딱" 사이에는 때때로 무한에 이를 것 같이 긴 정적이 있는가 하면, 부질없는 찰나도 역시 존재한다.
모름지기 인간이 경험하는 것은 "시간"자체가 아니라 그저 시계바늘 소리일 뿐이라, 그나마 초침소리가 없다면 우리는 그 "똑"과 "딱" 사이에 무엇이 있는지 상상할 수조차 없다. 게다가 이 똑딱소리는 얼마나 오묘한가. 잠이 오지않는 밤, 서둘러 잠을 청하면서도 귀에 흘러들어오는 "시간의 소리"를 우리도 모르게 속으로 읽게된다. 똑딱똑딱똑딱똑딱....그러다보면 "똑딱"은 어느새 "딱똑"이 되어있고, 신기하게도 분명 "똑"으로 시작되어 "딱"으로 끝나야하는 1초라는 한 쌍은, 어느덧 "딱"으로 시작되어 "똑"으로 끝나고 있다. 왠지 모르게 음산해지는 순간.
Frank Kermode, {The Sense of an Ending}
이 책은 종교서적이 아니라 문학비평이다. 그러나 문학비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5장 이후부터는 사실 너무 지루하고, 시간과 종말의 개념을 다루는 앞부분만을 정말 흥미있게 읽었다. 이 책의 전반부는 시간에 관한 서구의 관념 중 세가지, 즉 크로노스, 카이로스, 그리고 에붐을 다룬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시간에 대해 두가지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한다. 그 하나는 "크로노스/kronos"이고 다른 하나는 "카이로스/kairos"였다. 전자는 시작도 끝도 없는 (per omnia secula seculorum), 즉 영원에서 영원으로 끝없이 이어지며, 순환과 반복을 통해 영원의 개념을 반영하는 아리스토텔레스적 우주관이다.
후자인 카이로스는 크로노스와는 매우 다른 시간이다. 그것은 어떤 특별한 계기와 늘 관련되어 있는 시간, 혹은 "그 시각"이다. 이 카이로스의 관점에서 시간은 그냥 흘러가는 것이 아니며, 어떤 의지의 개입 혹은 운명, 혹은 섭리와 관계를 맺은 시간을 의미하며 그래서 매 순간은 그 "의미"를 가진다. 유사하게 고대 히브리인은 오직 하나의 시간관념을 가지고 있었다고들 한다. 그 시간은 어떤 하나의 순간에서 어떤 시점을 향해 날아가는 화살과도 같이, 창조에서 종말을 향해 날아가는 단선적이고 직선적인 시간이다. 그래서 카이로스는 히브리적 단선적 시간관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영원을 상정하는 유대-기독교의 시간개념으로 발전한다. 바로 그 이유로 영원한 우주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은 13세기 유럽에 도입된 즉시 스콜라 철학 내부에 엄청난 논쟁을 몰고왔으며, 그 결과 중세대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이 금서조치되는 계기가 되었다
훗날 토마스 아퀴나스는 여기에 "에붐 aevuum"이라는 새로운 시간개념을 도입한다. 그것은 신의 속성이자 천사가 사는 영역이고, 인간이 현재 인지할 수는 없으나 장차 참여하게 될 새로운 형태의 "그 무엇"이다. 에붐은 간단히 말하자면, 시작은 있으나 끝은 없는 그 무엇이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을 옮겨 적는다.
{신학대전} 제10문 : 신의 영원성
http://www.ccel.org/a/aquinas/summa/FP.html
....[1]. 영원성이란 동시적이고 완전하며 시작도 마침도 없는 생명의 소유를 지칭한다. 시간(tempus)이란 '먼저'와 '나중'에 따른 운동의 척도이다. [2]. 불변하고 항상적인 신에게는 변화가 있을 수 없고 따라서 '먼저'와 '나중'으로 구별될 구별점을 그의 존재 속에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신에겐 시간이 없고 영원하다. [3]. 그리고 이 영원성은 신의 존재 자체에 속하는 것이므로 신의 고유한 본질이다. 다른 모든 존재자들은 고유한 권리로서가 아니라 오직 신의 영원성에 참여할 수 있을 뿐이다. [4]. 영원은 시간과 다르다. 왜냐하면 영원성은 모든 것이 동시에 함께 있음인데. 이것이 시간에게는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5]. '시간'은 '먼저'와 '나중'을 함축한다. '시대(aevum)'는 시작은 가지나 끝이 없다. 시대도 '먼저'와 '나중'을 지니긴 하지만. 새로워짐도 낡아짐도 가지지 않는다. 영원은 어떠한 '먼저'도 '나중'도 지니고 있지 않고, 결코 어떤 모양으로도 그것들과 무관하다....
草人
이메일로 전송BlogThis!Twitter에서 공유Facebook에서 공유
라벨:
책,
철학/사상
© 최광민, Kwangmin Choi, 1995-11-15
전문복사, 문맥을 무시한 임의적 발췌/수정, 배포를 금합니다.
제목
종말의식과 인간적 시간 (프랭크 커머드) : Frank Kermode, {The Sense of an Ending}
Frank Kermode, {The Sense of an Ending}
이 책은 종교서적이 아니라 문학비평이다. 그러나 문학비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5장 이후부터는 사실 너무 지루하고, 시간과 종말의 개념을 다루는 앞부분만을 정말 흥미있게 읽었다. 이 책의 전반부는 시간에 관한 서구의 관념 중 세가지, 즉 크로노스, 카이로스, 그리고 에붐을 다룬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시간에 대해 두가지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한다. 그 하나는 "크로노스/kronos"이고 다른 하나는 "카이로스/kairos"였다. 전자는 시작도 끝도 없는 (per omnia secula seculorum), 즉 영원에서 영원으로 끝없이 이어지며, 순환과 반복을 통해 영원의 개념을 반영하는 아리스토텔레스적 우주관이다.
후자인 카이로스는 크로노스와는 매우 다른 시간이다. 그것은 어떤 특별한 계기와 늘 관련되어 있는 시간, 혹은 "그 시각"이다. 이 카이로스의 관점에서 시간은 그냥 흘러가는 것이 아니며, 어떤 의지의 개입 혹은 운명, 혹은 섭리와 관계를 맺은 시간을 의미하며 그래서 매 순간은 그 "의미"를 가진다. 유사하게 고대 히브리인은 오직 하나의 시간관념을 가지고 있었다고들 한다. 그 시간은 어떤 하나의 순간에서 어떤 시점을 향해 날아가는 화살과도 같이, 창조에서 종말을 향해 날아가는 단선적이고 직선적인 시간이다. 그래서 카이로스는 히브리적 단선적 시간관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영원을 상정하는 유대-기독교의 시간개념으로 발전한다. 바로 그 이유로 영원한 우주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은 13세기 유럽에 도입된 즉시 스콜라 철학 내부에 엄청난 논쟁을 몰고왔으며, 그 결과 중세대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이 금서조치되는 계기가 되었다
훗날 토마스 아퀴나스는 여기에 "에붐 aevuum"이라는 새로운 시간개념을 도입한다. 그것은 신의 속성이자 천사가 사는 영역이고, 인간이 현재 인지할 수는 없으나 장차 참여하게 될 새로운 형태의 "그 무엇"이다. 에붐은 간단히 말하자면, 시작은 있으나 끝은 없는 그 무엇이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을 옮겨 적는다.
草人
후자인 카이로스는 크로노스와는 매우 다른 시간이다. 그것은 어떤 특별한 계기와 늘 관련되어 있는 시간, 혹은 "그 시각"이다. 이 카이로스의 관점에서 시간은 그냥 흘러가는 것이 아니며, 어떤 의지의 개입 혹은 운명, 혹은 섭리와 관계를 맺은 시간을 의미하며 그래서 매 순간은 그 "의미"를 가진다. 유사하게 고대 히브리인은 오직 하나의 시간관념을 가지고 있었다고들 한다. 그 시간은 어떤 하나의 순간에서 어떤 시점을 향해 날아가는 화살과도 같이, 창조에서 종말을 향해 날아가는 단선적이고 직선적인 시간이다. 그래서 카이로스는 히브리적 단선적 시간관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영원을 상정하는 유대-기독교의 시간개념으로 발전한다. 바로 그 이유로 영원한 우주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은 13세기 유럽에 도입된 즉시 스콜라 철학 내부에 엄청난 논쟁을 몰고왔으며, 그 결과 중세대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이 금서조치되는 계기가 되었다
훗날 토마스 아퀴나스는 여기에 "에붐 aevuum"이라는 새로운 시간개념을 도입한다. 그것은 신의 속성이자 천사가 사는 영역이고, 인간이 현재 인지할 수는 없으나 장차 참여하게 될 새로운 형태의 "그 무엇"이다. 에붐은 간단히 말하자면, 시작은 있으나 끝은 없는 그 무엇이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을 옮겨 적는다.
{신학대전} 제10문 : 신의 영원성
http://www.ccel.org/a/aquinas/summa/FP.html
....[1]. 영원성이란 동시적이고 완전하며 시작도 마침도 없는 생명의 소유를 지칭한다. 시간(tempus)이란 '먼저'와 '나중'에 따른 운동의 척도이다. [2]. 불변하고 항상적인 신에게는 변화가 있을 수 없고 따라서 '먼저'와 '나중'으로 구별될 구별점을 그의 존재 속에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신에겐 시간이 없고 영원하다. [3]. 그리고 이 영원성은 신의 존재 자체에 속하는 것이므로 신의 고유한 본질이다. 다른 모든 존재자들은 고유한 권리로서가 아니라 오직 신의 영원성에 참여할 수 있을 뿐이다. [4]. 영원은 시간과 다르다. 왜냐하면 영원성은 모든 것이 동시에 함께 있음인데. 이것이 시간에게는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5]. '시간'은 '먼저'와 '나중'을 함축한다. '시대(aevum)'는 시작은 가지나 끝이 없다. 시대도 '먼저'와 '나중'을 지니긴 하지만. 새로워짐도 낡아짐도 가지지 않는다. 영원은 어떠한 '먼저'도 '나중'도 지니고 있지 않고, 결코 어떤 모양으로도 그것들과 무관하다....
草人
Scientist. Husband. Daddy. --- TOLLE. LEGE
외부자료의 인용에 있어 대한민국 저작권법(28조)과 U.S. Copyright Act (17 USC. §107)에 정의된 "저작권물의 공정한 이용원칙 | the U.S. fair use doctrine" 을 따릅니다.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본문 발췌, (3) 무단배포를 위한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URL 주소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후원 | 운영] [대문으로] [방명록] [옛 방명록] [티스토리 (백업)] [신시내티]
-